매일신문

[단독] "어?" 대구로페이 가맹점 확인하세요…이달 말 530곳 축소

행안부 '연 매출 30억 초과 제외' 지침에 해당
대구시, 오는 11일 해당 가맹점 등록 취소 통지·25일부터 공고 진행
주유소·충전소 81곳, 편의점 50곳, 음식점 43곳, 병의원 40곳 등 대상
시민들 혼란 우려돼

대구시는 지난 7월 지역사랑상품권을 기존
대구시는 지난 7월 지역사랑상품권을 기존 '대구행복페이'에서 모바일 서비스 중심인 대구로페이로 전환했다. 지난 7월 31일 오후 한 시민이 중구 동성로 한 카페에서 QR 코드 결제 시스템으로 대구로페이를 사용하고 있다. 매일신문DB

다음 달부터 대구시의 지역사랑상품권인 '대구로페이' 가맹점이 530곳 축소된다. 9일 대구시는 "이달 말까지 대구로페이 가맹점 가운데 연 매출액이 30억원을 초과한 곳을 대상으로 가맹점 등록 취소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등록 취소 대상은 ▷주유소·충전소 81곳 ▷편의점 50곳 ▷음식점 43곳 ▷병의원 40곳 ▷학원 등 교육업 40곳 ▷수퍼마켓 39곳 ▷약국 24곳 ▷농축수산점 17곳 ▷헬스클럽 14곳 ▷농축협 직영매장 11곳 등 모두 530곳이다. 전체 가맹점 1만6천574곳의 3.19% 규모다.

이는 행정안전부가 지역사랑상품권 지침 개정을 예고한 데 따른 것이다. 행안부는 지난 2월 소상공인 지원 효과를 높인다는 취지로 지역사랑상품권 사용처를 소상공인 중심으로 개선, 연 매출액이 30억원 이하인 경우에만 가맹점 등록을 허용한다고 밝혔다.

지자체별 여건에 따라 취지에 맞지 않는 업종도 제한하도록 했다. 행안부는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지역사랑상품권 지침 개정안을 수립하고 지역별 가맹점을 조정할 것을 전국 지방자치단체로 통보했다.

이후 강원 춘천시, 충남 논산시, 경기 가평군 등지에서 지역사랑상품권 가맹점 제한 조치를 철회해 달라는 건의가 이어지는 상황이다. 대체로 소비 선택권을 제한하면 상품권 이용률이 떨어져 지역 경제를 위축시킬 수 있고 주민들의 불편 가중도 불가피하다는 주장이다.

등록 취소 대상에 농축협 직영매장이 포함되면서 농민 단체에서도 반발이 일었다. 한국후계농업경영인중앙연합회는 성명서에서 "단순히 매출 규모로 사용처를 제한하면 정책 취지와 효과가 반감될 수밖에 없다. 소상공인 지원도 중요하지만 지역 특수성과 소비자 기호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반면 소상공인연합회는 "복합 위기에 따른 극심한 매출 저하로 힘든 시간을 보내는 소상공인에게 '가뭄의 단비' 같은 소식"이라며 "지역사랑상품권이 지역공동체를 강화하고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는 데 바르게 쓰이도록 해야 한다"는 입장을 내기도 했다.

대구시는 지난 7월 기존 '대구행복페이'에서 모바일 서비스 중심인 대구로페이로 지역사랑상품권을 전환한 데다 이번에는 가맹점까지 축소하게 돼 시민들이 혼란을 빚지 않을지 우려하고 있다.

서정혜 시 경제정책관은 "상품권을 사용할 수 없는 사업장이 늘어나니 (행안부에) 여러 번 건의했고, 시행도 가능한 늦춰 왔으나 최근 '가맹점을 제한하지 않으면 국비 지원에 제한을 받을 수 있다'는 공문이 내려와 더 미룰 수 없게 됐다"고 말했다.

시는 오는 11일 해당 가맹점에 등록 취소 계획을 통지한 뒤 오는 25일부터 이 내용을 공고하고 이달 말까지 가맹점 등록 취소를 진행할 계획이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