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김명수 합참의장 후보자 "9·19합의, 방위태세에 군사적 제한사항 있어"

북한 주민 목선 남하과정에 대해선 '군이 적절하게 대응했다'고 언론의 비판 반박하기도

김명수 신임 합동참모본부 의장 후보자가 1일 오전 청문회 준비 사무실이 마련된 서울 국방부 별관으로 들어서며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명수 신임 합동참모본부 의장 후보자가 1일 오전 청문회 준비 사무실이 마련된 서울 국방부 별관으로 들어서며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우리 군의 서열 1위인 합동참모본부 의장 후보자가 9·19 남북군사합의에 대해 "군사적으로 틀림없이 제한 사항이 있다"는 소신을 밝혔다.

김명수(해사 43기) 후보자는 1일 용산 국방부 별관에 마련된 후보자 사무실로 처음 출근하며 기자들과 만나 이 같이 말했다.

이어 김 후보자는 전군의 임무수행 태도에 대해 "호랑이처럼 존재하고 싸우면 사냥개처럼 행동하는 군이 돼야 한다"고 당부했다.

또한 김 후보자는 언론이 10년 만에 해군 출신 합참의장으로 발탁된 점을 부각하고 있지만 '육해공군과 해병대의 본질은 동일하다'며 국민의 생명을 보호하고 적의 위협을 제거하는 기본 임무를 충실히 수행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김 후보자는 "(모든 군인은) 합동성에 기반해 동일한 목적을 가지고 싸운다"며 "합참에는 경험이 많은 장군 참모들과 훌륭한 영관장교들이 있기 때문에 그들의 지혜를 모아 팀워크를 유지한다면 모든 걸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김 후보자는 지난달 24일 북한 주민 4명이 소형 목선을 타고 동해 북방한계선(NLL)을 넘어 귀순할 당시 군이 아닌 어민에 의해 먼저 발견된 건 '군의 경계 실패가 아니냐'는 지적에는 동의하지 않았다.

김 후보자는 "합참 발표가 아주 잘 됐다고 본다"며 "작전의 전반적인 것을 다 공개할 수는 없다. 공개할 수 있는 부분과 할 수 없는 부분이 있고, 공개 자체가 저희에게 취약점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 후보자는 세종대왕함장, 합참 작전2처장, 해군 2함대 2해상전투단장 등 주요 해상작전 지휘관 및 참모 보직을 거친 해군의 대표적인 작전통이다. 해군작전사령 재임 중 실시된 한미 및 한미일 연합 훈련을 주도하며 연합 해상 방위태세 구축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국회 국방위원회는 오는 15일 전후로 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를 실시할 예정이다. 합참의장은 현역 군인 가운데 유일하게 인사청문회 대상이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