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의회 건설교통위원회는 7일 대구시 공항건설단과 후적지개발단에 대한 행정사무감사에서 대구경북 신공항 건설과 후적지 개발을 주도할 SPC(특수목적법인) 선정이 지지부진한 데 대해 대구시가 행정력을 집중해 해소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지만 건교위 위원장은 "SPC 선정에 공공기관 참여가 우선돼야 함에도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이 사업 참여에 소극적"이라며 "대구시가 공공기관에 사업 참여에 대한 신뢰와 확신을 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배석주 대구시 공항건설단장은 "LH가 사업에 뛰어들 수 있도록 사업성을 강화하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답했다. 또 "신공항 건설은 공항공사가, 도시개발은 LH가 하도록 사업을 나누고 기획재정부와는 공공기관 평가에서 부채를 안고 사업을 시행하는 LH의 특성을 고려해 줄 것을 제안하는 등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배 단장은 "이런 노력을 통해 (SPC에 참여하도록) 느슨한 형태로 사인하고, 다음 단계로 넘어가는 결실을 조만간 맺을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막대한 규모의 후적지 개발과 관련한 대구시 비전의 실천 가능성에 대한 지적도 나왔다. 앞서 대구시는 군공항 후적지를 6밸리 6클러스터의 '뉴(New) K-2, 글로벌 신성장 도시'로 조성하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한 바 있다.
이에 대해 허주영 대구시 후적지개발단장은 "글로벌 앵커기업이나 R&D 센터 등을 유치하면 청년들이 오게 되고, 국제학교나 병원 유치를 통해 다른 지역과 비교해 경쟁력 있는 도시로 만들도록 노력하겠다"고 답했다. 도시 인프라 공급에 그치지 않고, 수요 창출을 통해 도시 건설을 성공시키겠다는 것이다.
아울러 이날 감사에서는 시청 후적지 개발을 위한 용역과 전문가 자문 등이 사업 변경과 지연 등으로 예산 낭비, 행정력 낭비가 되어버렸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신공항 건설에 대해 포괄협정 체결 지연으로 미군 이전 관련 사업도 모두 지체되고 있다는 지적도 있었다.
댓글 많은 뉴스
경북대 '반한집회'에 뒷문 진입한 한동훈…"정치 참 어렵다"
한동훈, 조기대선 실시되면 "차기 대선은 보수가 가장 이기기 쉬운 선거될 것"
유승민 "박근혜와 오해 풀고싶어…'배신자 프레임' 동의 안 해"
"尹 만세"…유인물 뿌리고 분신한 尹 대통령 지지자, 숨져
법학자들 "내란죄 불분명…국민 납득 가능한 판결문 나와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