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졸업생이나 졸업예정자 중 절반 가량이 올해 취업을 하지 못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23일 한국경제인협회가 전국 4년제 대학 재학생 및 졸업(예정)자 3천22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3년 대학생 취업 인식도 조사'에 따르면 올해 대학생들이 예상하는 졸업생 취업률은 49.7%로 집계됐다.
대학생들은 신입 채용 기회 감소, 좋은 일자리 부족 등으로 대졸 취업 환경이 어두울 것으로 내다봤다.
취업 준비 과정이 어려운 이유로 응답자 중 26.3%는 경력직 선호 등에 따른 신입채용 기회 감소를 꼽았다. 원하는 근로조건에 맞는 일자리 부족을 꼽는 응답자는 22.6%였다.
고용 한파에 취업준비생은 구직활동에도 소극적인 모습이다. 4학년 또는 졸업 예정이거나 졸업한 대학생 10명 중 6명(57.6%)는 구직 기대가 낮은 소극적 구직자로 분류됐다.
반면 적극적으로 구직하고 있다는 응답 비중은 10명 중 2명(21.1%)에 불과했다.
적극적으로 구직에 나서지 이유로는 절반 가량인 48.5%가 '역량, 기술, 지식 등이 부족해 더 준비하기 위해'라고 응답했다. 다음으로는 일자리 부족(38.4%)을 꼽았다.
적극적으로 구직 활동에 나서도 취업은 어려웠다. 적극 구직에 나선 취업준비생의 서류전형 합격률은 평균 28.3%에 불과했다. 이는 지난해 서류전형 합격률 35.8%보다 7.5%포인트(p) 낮은 수준이다.
취업준비생 10명 중 7명(66.1%)은 취업 준비 기간으로 '6개월 이상'을 꼽았고, 37.1%는 1년 이상을 예상했다.
추광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경기침체가 지속되면서 기업들의 신규 일자리 창출 여력이 위축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정부와 국회가 규제혁파, 노동개혁 등으로 기업 활력을 제고하고, 일 경험 기회 및 직업훈련 확대 등으로 청년들의 취업 지원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댓글 많은 뉴스
국힘 김상욱 "尹 탄핵 기각되면 죽을 때까지 단식"
[단독] 경주에 근무했던 일부 기관장들 경주신라CC에서 부킹·그린피 '특혜 라운딩'
최재해 감사원장 탄핵소추 전원일치 기각…즉시 업무 복귀
"TK신공항, 전북 전주에 밀렸다"…국토위 파행, 여야 대치에 '영호남' 소환
헌재, 감사원장·검사 탄핵 '전원일치' 기각…尹 사건 가늠자 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