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030년까지 수소차 30만 대를 보급하고 수소산업 10대 전략 분야 소재·부품·장비 국산화율을 80%까지 달성한다.
정부는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제6차 수소경제위원회를 개최하고 이 같은 내용의 안건을 심의했다. 이날 위원회에서는 ▷청정수소 인증제 운영 방안 ▷수소산업 소부장 육성 전략 ▷수소전기차 보급 확대방안 ▷국가 수소 중점연구실 운영방안 등 총 4개 안건이 논의됐다.
먼저 정부는 탄소중립˙국가별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이행을 위해 '수소 1㎏당 온실가스 배출량 4㎏ 이하'로 청정수소 배출 기준을 규정하기로 했다. 청정수소 인증제는 수소를 생산·수입하는 과정에서 온실가스 배출량이 일정 수준 이하인 경우 청정수소로 인증하고 인센티브를 지원하는 제도다.
수소산업 10대 분야와 40대 핵심 품목을 끌어내는 등 소재·부품·장비 산업 생태계도 강화한다. 정부는 이를 통해 2030년까지 10대 전략 분야 소부장 국산화율 80% 달성과 글로벌 소부장기업 20개사를 육성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아울러 2030년까지 수소전기자동차 보급 확대에 나선다. 수소차 30만 대를 보급하고 수소충전소를 660기 이상 구축할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지방자치단체와 협력해 시내버스와 단거리 시외버스, 광역버스를 수소버스로 전환하고 공공부문 직영버스 교체를 유도한다. 내년 수소지게차 보조금을 신설하고 2025년 수소청소차 민간보조 신설 검토를 비롯해 수소버스 대량 구매 시 친환경 정책금융 활용을 유도하는 등 재정·금융 지원도 추진한다. 액화수소 충전소와 수소충전소를 확충하고 수소 수급 대응체계 강화 및 공급 다변화 등 정책 방안도 마련한다.
이외에도 알카라인 수전해, 양성자 교환막(PEM) 수전해 등 기술별로 중점연구실을 구축해 기술 국산화를 위한 기초·원천 연구 수행 등도 추진하기로 했다.
한 총리는 "우리 정부도 세계 최고 수준 수소경제를 선도적으로 구현하기 중장기 정책 수립, 국가전략기술로 지정해 세제지원 확대, 청정수소 인증제도 기반 마련 등 정책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며 "정부는 수소경제와 산업발전이 본격화할 수 있도록 실행방안을 구체화하고 더욱 속도감 있게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어대명' 굳힐까, 발목 잡힐까…5월 1일 이재명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