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與 공천심사 기준 변화…당·사회 기여도 상대평가·당무감사 점수는 절대평가

당·사회 기여도, 현역 및 직전 당협위원장은 절대평가
당 기여도는 한동훈·윤재옥 2명이 평가…당내 긴장감 고조

국민의힘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이 1일 오후 경북 문경시 산양면 문경장례식장에서 육가공공장 화재현장에 투입됐다 순직한 구조대원의 조문을 마친 뒤 장례식장을 나서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이 1일 오후 경북 문경시 산양면 문경장례식장에서 육가공공장 화재현장에 투입됐다 순직한 구조대원의 조문을 마친 뒤 장례식장을 나서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이 1일 총선 공천심사 항목에서 당무감사 점수를 절대평가 방식으로 반영하기로 하는 등 일부 변화를 줬다. 당 대표 재량권도 대폭 확대된 것으로 알려지면서 당내 긴장감이 고조되는 모양새다.

이날 국민의힘은 비상대책위원회 회의를 열어 총선 공천심사 항목 중 '기여도' 평가 방식과 관련, 현역 의원 등 직전 당협위원장은 절대평가로, 신인 등 비(非) 당협위원장은 상대평가로 변경하기로 했다.

신인 등 비당협위원장 출신 공천 신청자 '당 및 사회 기여도' 평가의 경우 애초 절대평가 방식이었다. 100점 만점 중 35점을 차지하는데, A~E 5등급으로 나눈 상대평가로 점수를 부여한다. 예를 들어 A등급은 35점을 모두 받고 등급별로 5점씩 깍여 E등급은 15점을 받는다.

지역구별 공천 신청자는 A~E 등급에 균등 분포된다. 가령 한 지역구 비당협위원장 공천 신청자가 5명이면 등급별로 1명씩, 10명이면 2명씩 배치돼 점수를 부여받는다.

당 및 사회 기여도는 공천신청자가 과거 공직 등에서 활동한 경력이나 봉사활동 등을 평가하는 항목이다. 공관위원들이 매긴 최고점과 최저점을 제외한 점수를 합산·평균해 산출한다.

현역 의원을 포함해 직전까지 당협위원장이었던 공천 신청자는 이 35점이 당 기여도(15점)와 당무감사(20점)으로 나뉜다.

이 가운데 당무감사 점수는 기존 상대평가(A~D등급, 등급별 2.5점 차이)에서 절대평가 방식으로 변경하기로 했다. 당무감사 점수가 비슷한데 누구는 A등급, 누구는 B등급으로 분류되면 실제보다 점수 차이가 크게 나게 된다는 이의제기를 반영했다.

이중 기여도의 경우 한동훈 위원장과 윤재옥 원내대표가 유일한 평가자라고 이날 국민의힘 측은 밝혔다. 이에 지도부 정성평가에 따라 후보자 평점이 상당한 영향을 받을 전망이다.

지역 정치권 관계자는 "인물보다 당 지지세가 강한 영남권의 경우 여론조사 등 다른 항목에서 격차를 크게 내기 어렵다. 현행 룰에 따르면 주자 간 격차가 10점 안팎일 수 있다"며 "지도부가 15점을 좌지우지한다면 재량권이 엄청난 것이다. 소위 윤심(尹心) 후보들에 힘을 실어줄 수 있는 구조"라고 했다.

이와 관련, 한 위원장은 이날 언론에 "마치 내가 다 평가할 것처럼 (언론에서) 썼던데 그게 아니다"며 "공천에 여러 가지 요소들이 있는데 당 기여도 평가를 저와 원내대표가 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편단하에 공관위에서 정한 것"이라고 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