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제성에 의존한 법은 현장의 안전을 담보할 수 없습니다."
정진우 서울과학기술대 안전공학과 교수는 중대재해처벌법(중대재해법)의 실효성을 묻는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강력한 처벌만을 내세운 법안이 안전사고 예방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해석이다.
정 교수는 "엄벌을 강조하는 게 어쩌면 가장 손쉬운 방법"이라며 "시스템을 개선하지 않고 처벌만 강화한 법을 시행한다고 사고가 줄어드는 것은 아니다. 현재 법안은 예측가능성과 이행가능성이 현저히 떨어진다"고 설명했다.
또 중대재해법 시행으로 혼란이 가중되는 것은 물론, 불필요한 사회적 비용을 낭비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처벌을 피하기 위한 서류 작업에 치중할 것이고 실질적으로 안전을 강화하는 차원이 아닌 회피에 초점을 맞추려고 할 것"이라며 "중대재해법 시행을 위해 행정기관 인력은 몇 배로 늘었고 예산 편성도 확대됐지만 효과는 불투명하다. 정치권에서도 이런 상황을 알고도 방치하는 게 가장 큰 문제"라고 했다.
이어 "자칫 법을 이용하는 이들의 배만 불릴 수 있다. 실제 민간 컨설팅 업체들은 대기업을 대상으로 한 '공포 마케팅'에 성공해 최근 돈벌이에 나서고 있다. 옳고 그름을 따지지 않고 이해관계만 보고 접근하는 이들이 너무 많다"고 덧붙였다.
정 교수는 "지금과 같은 고장난 안전관리 체계를 유지하는 것은 장기적으로 국가적 손실로 이어질 수 있다. 예방기준을 정비하고 제대로 된 시스템을 정립하는 것이 최우선이다. 더 이상 책임을 회피해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국힘 김상욱 "尹 탄핵 기각되면 죽을 때까지 단식"
[단독] 경주에 근무했던 일부 기관장들 경주신라CC에서 부킹·그린피 '특혜 라운딩'
최재해 감사원장 탄핵소추 전원일치 기각…즉시 업무 복귀
"TK신공항, 전북 전주에 밀렸다"…국토위 파행, 여야 대치에 '영호남' 소환
우원식 "최상목, 마은혁 즉시 임명하라…국회 권한 침해 이유 밝혀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