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의 배터리'로 불리는 전고체 배터리 시장 선점을 위해 중국과 일본 정부가 경쟁을 벌이고 있다. 한국 업체들도 전고체 배터리 연구개발(R&D)에 적극 나서고 있지만, 정부의 보다 전폭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3일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글로벌 전고체 배터리 시장 규모가 2022년 기준 2천750만달러(약 370억원)에서 2030년 400억달러(약 53조4천600억원)로 커질 전망이다.
전고체 배터리 기술은 현재 일본이 다소 앞서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일본 특허청 조사 결과 2013∼2021년 전 세계 전고체 배터리 관련 특허 출원 총 5천438건 중 일본 기업의 특허 출원 수는 2천645건으로, 전체 48.6%를 차지했다. 상위 기업 20곳 중 14곳이 일본 기업이다.
일본 정부는 2030년까지 일본 기업의 글로벌 배터리 시장 점유율 20% 회복을 목표로 54조5천억원의 민관 투자를 계획하는 등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닛산자동차는 내년 3월 양산을 목표로 요코하마 공장에 100㎿(메가와트) 규모의 전고체 배터리 파일럿 라인을 건설 중이다.
중국 정부는 최근 전고체 배터리 연구개발에 약 60억위안(약 1조1천270억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세계 최대 전기차 배터리 제조업체인 CATL은 최근 2027년 전고체 배터리 생산 계획을 밝혔고 이미 올해 초 2개 프로젝트에 참여하며 정부 지원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 정부도 전고체 등 차세대 배터리 지원을 위해 올해부터 2028년까지 1천172억원을 투입한다고 밝혔지만, 이는 중국 정부 지원금의 10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 LG에너지솔루션과 SK온, 삼성SDI 등 K-배터리 3사도 꾸준히 전고체 배터리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대구지역 기업 가운데 2차전지 장비 전문기업인 씨아이에스가 전고체 배터리 셀 제조장비 개발을 추진 중이다. 전고체전기 대량생산을 위한 기술은 물론 제작 및 평가 방법을 수립하고 있으며 오는 2025년 사업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배터리 경쟁력을 지키고 도태되지 않으려면 현재 초창기인 2차전지 산업의 안정적 가동과 더불어 미래 배터리 기술력에 대한 투자도 병행해야 한다"고 했다.
※전고체 배터리 = '고체'로만 생산하는 제품이다. 차량 주행거리를 현재 판매 중인 배터리보다 더욱 길게 하는 동시에 화재 위험성은 줄일 수 있다. 리튬 이온 배터리의 액체 상태인 전해질을 고체로 바꾸는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험지 경북' 찾은 이재명 "제가 뭘 그리 잘못을…온갖 모함 당해"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홍준표 "탈당, 당이 나를 버렸기 때문에…잠시 미국 다녀오겠다"
국민의힘, 단일화 추진 기구 구성…"한덕수 측과 협상"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 선출 [전문] [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