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민간소비 살아나고 수출 반등…2분기 한국 경제 0.6% 성장

설비·건설투자 2분기 연속 역성장…투자 부문 회복 더뎌…"日수준 관세면 기존 성장 전망과 비슷"

[그래픽] 경제성장률 추이 (서울=연합뉴스) 김민지 기자 = 한국은행은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직전분기대비·속보치)이 0.6%로 집계됐다고 24일 밝혔다. minfo@yna.co.kr 트위터 @yonhap_graphics 페이스북 tuney.kr/LeYN1 (끝)
[그래픽] 경제성장률 추이 (서울=연합뉴스) 김민지 기자 = 한국은행은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직전분기대비·속보치)이 0.6%로 집계됐다고 24일 밝혔다. minfo@yna.co.kr 트위터 @yonhap_graphics 페이스북 tuney.kr/LeYN1 (끝)

민간 소비가 기지개를 켜고 수출이 뒷받침하면서 올해 2분기 한국 경제가 전 분기 대비 0.6%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건설·설비투자는 좀처럼 부진에서 벗어나지 못하며 성장의 한쪽 날개가 여전히 무거운 모습이다.

한국은행은 24일 올해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속보치를 발표하며, 지난 1분기 대비 0.6%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는 시장과 한은이 당초 예상한 0.5%를 0.1%포인트 웃도는 수치다.

국내 경제는 지난해 1분기 1.2%의 '깜짝 성장' 이후 급격한 둔화세를 보였다. 같은 해 2분기 -0.2%로 고꾸라졌고, 3분기와 4분기에는 각각 0.1%에 그치며 정체 양상을 보였다. 올해 1분기에는 다시 -0.2%로 돌아서며 위축 흐름을 이어갔다.

2분기 성장률 세부 항목을 보면, 민간소비가 차량, 오락문화 등 품목을 중심으로 0.5% 증가했다. 정부 소비도 건강보험 급여 지출 확대 등 영향으로 1.2% 늘었다. 수출은 반도체와 석유화학 제품 수요가 회복되며 4.2% 증가했고, 수입 역시 원유와 천연가스를 중심으로 3.8% 확대됐다.

반면, 건설투자는 건물 및 토목 분야 모두 부진하며 1.5% 감소했고, 설비투자도 반도체 장비와 선박 등의 운송장비 중심으로 1.5% 줄었다.

실질 국내총소득(GDI)은 2분기 1.3% 증가해, 실질 GDP 성장률을 0.7%포인트 웃돌았다. 교역조건 개선 등으로 벌어들인 소득이 경제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해석이다.

한편, 이동원 한국은행 경제통계국 제2국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최근 한미 간 상호관세 인하 가능성에 관한 질문에 "미국이 일본과 체결한 합의와 유사한 수준으로 우리나라에 적용되더라도 5월 전망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으며, 약간 부정적인 정도로 보인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