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 소비가 기지개를 켜고 수출이 뒷받침하면서 올해 2분기 한국 경제가 전 분기 대비 0.6%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건설·설비투자는 좀처럼 부진에서 벗어나지 못하며 성장의 한쪽 날개가 여전히 무거운 모습이다.
한국은행은 24일 올해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속보치를 발표하며, 지난 1분기 대비 0.6%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는 시장과 한은이 당초 예상한 0.5%를 0.1%포인트 웃도는 수치다.
국내 경제는 지난해 1분기 1.2%의 '깜짝 성장' 이후 급격한 둔화세를 보였다. 같은 해 2분기 -0.2%로 고꾸라졌고, 3분기와 4분기에는 각각 0.1%에 그치며 정체 양상을 보였다. 올해 1분기에는 다시 -0.2%로 돌아서며 위축 흐름을 이어갔다.
2분기 성장률 세부 항목을 보면, 민간소비가 차량, 오락문화 등 품목을 중심으로 0.5% 증가했다. 정부 소비도 건강보험 급여 지출 확대 등 영향으로 1.2% 늘었다. 수출은 반도체와 석유화학 제품 수요가 회복되며 4.2% 증가했고, 수입 역시 원유와 천연가스를 중심으로 3.8% 확대됐다.
반면, 건설투자는 건물 및 토목 분야 모두 부진하며 1.5% 감소했고, 설비투자도 반도체 장비와 선박 등의 운송장비 중심으로 1.5% 줄었다.
실질 국내총소득(GDI)은 2분기 1.3% 증가해, 실질 GDP 성장률을 0.7%포인트 웃돌았다. 교역조건 개선 등으로 벌어들인 소득이 경제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해석이다.
한편, 이동원 한국은행 경제통계국 제2국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최근 한미 간 상호관세 인하 가능성에 관한 질문에 "미국이 일본과 체결한 합의와 유사한 수준으로 우리나라에 적용되더라도 5월 전망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으며, 약간 부정적인 정도로 보인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극우와 단호히 싸우겠다"…한동훈, 국힘 전당대회 불출마 선언
정부, 北 우라늄 폐수 조사 때 '핵심물질' 검사 빼먹었다
韓美 외교 접촉 반복적 취소…트럼프의 의도적 밀어내기?
李 대통령, '이주노동자 지게차 결박'에 분노…"세계가 한국을 어찌 볼까"
강선우 다음 타깃된 안규백…국힘 "병적기록 공개 거부는 군 모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