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배터리 3사(LG에너지솔루션·삼성SDI·SK온)의 오는 2035년 북미 배터리 시장 점유율이 58%에 달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는 27일 발간한 '2024 글로벌 LIB 라인 신설 및 증설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2035년까지 전 세계 리튬이온배터리(LIB) 생산능력이 5천695GWh(기가와트시)가 될 것으로 추산된다. 이는 전기차 및 에너지저장장치(ESS)용 중대형과 IT용 소형 배터리를 포함한 수치로 연평균 성장률은 10%으로 집계됐다.
2035년 기준 한국 배터리 3사는 총 1천159GWh의 생산능력을 갖출 것으로 예상됐다. 북미와 유럽 생산능력 전망치는 각각 628GWh, 305GWh다.
특히 2035년까지 북미 지역 내 생산능력은 한국 기업이 58%를 차지할 것으로 내다봤다. 북미 시장은 전기차 보급 확산, 신재생에너지 전환 등으로 성장 잠재력이 가장 높은 배터리 시장으로 꼽힌다. 미국 정부의 인플레인션감축법(IRA) 시행 영향으로 한국 기업들의 현지 진출도 활발하다.
중국의 경우 공급과잉 때문에 상위 업체 위주로 배터리 산업이 재편성될 가능성이 높다. 2035년에는 CATL, BYD(비야디), CALB가 전체 중국 업체 생산능력의 절반을 차지할 것으로 SNE리서치는 예상했다.
SNE리서치 관계자는 "LIB 제조 업체들의 공격적인 증설로 인해 공급 과잉이 발생하지만 장기적으로는 공급의 성장 폭이 둔화하고 수요는 꾸준히 증가해 이상적인 수급을 형성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어대명' 굳힐까, 발목 잡힐까…5월 1일 이재명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