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소 보유기업 10곳 가운데 7곳 이상은 미국 대선 결과가 우리 경제와 산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가 도널드 트럼프 후보의 미국 대통령 당선 이후 연구개발(R&D) 조직 보유기업 900개 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미국 대선 결과에 따른 산업계 긴급 인식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 기업 중 68%는 이번 대선 결과가 글로벌 경제환경을 악화시킬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우리 경제와 산업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는 부정적이라는 응답이 77%로 집계됐으며 별다른 영향이 없을 것이란 응답은 16%에 불과했다.
이는 관세정책 확대에 따른 보호무역주의 강화, 미국 우선주의 외교정책, 글로벌 공급망 변화 등의 위험 요소를 반영한 것으로 해석 할 수 있다. 수출 중심 경제구조와 반도체, 배터리 등 미중 기술패권 핵심산업을 중심으로 하는 한국 경제가 어려운 환경에 직면했음을 시사한다.
실제 차기 트럼프 행정부 정책 가운데 부정적 영향을 미칠 정책으로는 관세정책이 27%로 가장 높았고, 미국 우선주의 외교정책이 24%로 뒤를 이었다.
이번 대선이 투자심리에도 영향을 줄 것이란 우려도 적지 않다. 이번 조사에서 기업의 R&D와 설비투자에 대해서도 관망(58%)하거나 감소(34%)시킬 거란 응답이 많았다. 첨단산업 주도권을 두고 국가간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어 한국 산업계가 뒤처질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대목이다.
내년 트럼프 정부 출범에 대응해 한국이 시급하게 추진해야 할 정부 정책으로는 국가연구개발사업 지원 및 R&D 투자 확대(29%)와 주요 산업에 대한 세제 및 보조금 지원 강화(28%)를 많이 꼽았다.
고서곤 산기협 상임부회장은 "수출 의존도가 높은 한국경제의 특성을 고려할 때, 미국의 정책 변화에 따른 산업계 파급효과가 매우 클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이라며 "경제·산업 측면에서 우리 기업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R&D 투자 확대 등 정부의 발 빠른 대책이 시급히 추진되어야 하며, 대미 협상력 제고를 통한 대응체계 고도화가 매우 중요한 시기"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