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거대 야당을 이끌고 있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공직선거법 위반 관련 1심 선고에서 '의원직 상실형'을 받은 만큼 최종심 결과가 나올 때까지 정국의 혼란이 불가피하다.
17일 법조계 등에 따르면 공직선거법상 이 대표의 선거법 위반 혐의 재판은 이르면 내년 5월쯤 최종 판결이 날 것으로 보인다. 법에 따르면 2심 및 3심은 전심 선고 후 3개월 이내에 이뤄져야 한다.
앞으로 약 6개월 동안 여야 간 치열한 힘겨루기가 예상된다. 야당은 검찰의 악의적 수사와 기소가 잘못된 판결로 이어졌다고 주장하며 대대적인 대여 공세를 펼칠 것으로 보인다.
'김건희·윤석열 국정농단 규탄 및 특검 촉구' 집회에 세 차례 이어진 가운데 지난 14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세 번째 김 여사 특검법이 이달 말 국회로 돌아올 경우 공세는 최고조에 달할 전망이다.
이에 맞선 여권 역시 이 대표의 도덕성이 치명타를 입었다는 판단 아래 25일 위증교사 사건 1심 선고가 예정돼 있는 등 사법리스크 일정에 맞춰 '반(反)이재명' 공세를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
탄핵 위협도 서심치 않는 야당의 공세가 더욱 강해질 경우 그간 윤 대통령과 한동훈 대표 간 갈등 국면은 수면 아래로 가라앉고 단일 대오를 형성, 거야(巨野)와 강대강 대치를 벌일 것이란 관측이 적지 않다.
하지만 향후 정국에 변수가 산재해 있어 예측이 쉽지 않은 여건이다.
야당의 경우 이번 1심 선고가 이 대표의 리더십에 타격을 줄 정도는 아니라는 내부 평가가 나오지만 김동연 경기도지사, 김부겸 전 국무총리,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 등 비명(이재명)계 잠룡들의 움직임에 시선이 가는 게 사실이다.
이 대표를 향한 이들의 공세가 본격화할 경우 당내 혼란의 신호탄이 될 수 있다.
물론 25일 위증교사 사건 1심 선고나 선거법 위반 항소심 등 다른 재판에서 이 대표에게 유리한 판결이 나올 경우 이 대표를 중심으로 한 구심점이 강해지며 여론은 다시 요동칠 수 있다.
여당의 경우 '당원 게시판 논란' 등 친윤(윤석열)계와 친한(한동훈)계 간 갈등이 잠복돼 있고 윤 대통령 부부와 명태균 씨 관련 폭로가 이어지고 있는 점이 부담이다. 이달 말로 예상되는 김 여사 특검법 재표결까지 전열을 유지할 수 있느냐 여부가 내부 결속 유지의 주요 변곡점으로 꼽힌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