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전쟁 최전선에 있는 자동차 품목은 국가별 관세 협상과 관계없이 지속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무역협회는 21일 '미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 232조 관세 조치 주요 내용과 영향' 보고서를 통해 "상호관세와 달리 품목별 232조 관세 조치는 국가별 협상과 관계없이 지속될 수 있다"고 발표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이 철강·알루미늄 관세 조치를 두고 미국이 무역 흑자를 내는 호주에 대해 '면제' 방안을 고려한다고 했으나, 결국 이뤄지지 않았다는 이유에서다.
한국 정부는 협상단을 꾸려 이번주 워싱턴 DC를 방문, 트럼프 행정부와 자동차, 철강·알루미늄 등 품목별 관세와 국가별 기본 관세 조치에 본격 대응하고 나선다.
정부는 우선 자동차와 철강·알루미늄에 부과된 25% 품목별 관세와 90일간 유예된 상호관세(25%)를 인하하거나 유예하는 것이 1차 목표다.
트럼프 2기는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에 1962년 무역확장법 232조를 근거로 자동차에 대한 25% 관세는 지난 3일부터, 자동차부품 관세는 다음달 3일부터 발효된다.
그러나 향후 국가별 협상과 무관하게 미국 행정부가 자동차, 철강·알루미늄 등 품목별 관세를 인하하거나 면제할 가능성은 낮다는 전망이 제기된다.
이에 현대기아차 등 한국 기업은 물론, 북미 공급망을 활용하는 GM 등 미국 자동차 기업들도 제조 단계별로 관세 누적에 허덕이며 수익성 악화 수순을 밟을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이번 조치는 한국 기업의 대미 자동차·부품 수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지난해 미국의 대한국 자동차 수입액은 약 287억달러로, 대세계 자동차 수입(2천206억달러)의 13%를 차지했다. 미국의 대한국 자동차 부품 수입액은 약 135억달러로, 전체(2천125억달러) 대비 6.4% 규모였다.
한국의 대미 수출 비중도 높은 수준이다. 자동차는 49.1%, 자동차 부품은 36.5%, 리튬이온 배터리는 55.3%에 달한다.
자동차·자동차부품 품목 관세가 지속할 경우 한국 기업은 물론, GM 등 미국 기업도 타격을 피할 수 없게 된다. 자동차 제조가 부품부터 완성차까지 여러 국가를 오가는 등 복잡한 공급망으로 생산하기 때문이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이재명 42% vs. 범보수 41% "한덕수·국힘 승산 있다" [뉴스캐비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