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도(球都)는 대구' 2025시즌 KBO 프로야구가 흥행 몰이를 하고 있는 가운데 대구의 야구 열기가 특히 뜨겁다. 시즌 초반이긴 하지만 평균 관중 1위를 달릴 정도다.
서울 잠실구장은 LG 트윈스와 두산 베어스의 홈 구장. 서울이 한국 최대 도시다 보니 야구장을 찾는 이들도 그만큼 많고, 응원하는 팀도 다양하다. 서울로 원정 응원을 오는 팬 수도 상당하다. 관중 수를 따질 때 늘 상위권인 이유다.
롯데 자이언츠와 KIA 타이거즈도 관중 동원력이 좋은 팀. 성적이 좋으면 부산과 광주의 홈 구장이 가득 찬다. 삼성의 연고지 대구도 야구에 대한 자부심이 상당하다. 프로야구 원년부터 참가했고, 많은 스타를 배출했다. 그만큼 팬들도 많다.

지난해 삼성은 처음으로 100만 관중을 돌파했다. LG(139만7천499명)에 이어 총 관중 수(134만7천22명)에서 2위에 올랐다. 정규시즌 2위에 오르는 등 성적이 상승 곡선을 그리며 흥행에 더 불이 붙었다. 대구 삼성라이온즈파크(이하 라팍)가 뜨겁게 달아올랐다.
라팍에서 부는 흥행 돌풍은 올 시즌도 이어지고 있다. 28일 현재 라팍에서 치른 19경기 가운데 13회나 매진을 기록했다. 총 관중은 43만7천312명, 평균 관중은 2만3천16명으로 10개 구단 중 1위. 라팍 정원이 2만4천명인 걸 고려하면 지난해 기록을 깨고 140만 고지를 넘을 수 있다는 예상도 나온다.

LG는 삼성의 기세에 밀려 2위로 내려앉았다. 홈에서 16경기를 치러 총 관중 35만8천32명, 평균 관중 2만2천377명을 기록했다. 잠실구장은 삼성, 롯데, KIA 팬들도 많이 찾는다. 3위는 14경기에서 총 관중 29만3천64명, 평균 관중 2만933명을 기록한 두산이다.
관중 동원 환경은 삼성이 LG에 비해 불리하다. 지방을 연고로 하다 보니 다른 지역 팬들이 서울만큼 찾아오긴 쉽지 않다. 홈 팬 의존도가 더 클 수밖에 없다. 그런데도 현재 관중 동원력이 최고다. 이 정도면 삼성 라이온즈가 대구의 자랑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함께 사는 세상 만들 것"…이승만·박정희 등 묘역참배
김재섭, 전장연 방지법 발의…"민주당도 동의해야"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文 "이재명, 큰 박수로 축하…김경수엔 위로 보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