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이재명 "나라빚 거부는 무식" 발언에…"대장동식 한탕주의" 비판 봇물

국민의힘, 포퓰리즘성 경제관 파상공세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가 22일 오전 제주시 동문로터리에서 유세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가 22일 오전 제주시 동문로터리에서 유세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나라가 빚을 지면 안 된다는 무식한 소리를 하는 사람이 있다"고 발언해 논란이 이는 가운데, 국민의힘은 이 후보가 포퓰리즘성 경제관을 드러내고 있다며 파상공세를 펼쳤다.

김용태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중앙선대위 회의에서 "어제 이재명 후보가 '우리나라는 국민에게 공짜로 주면 안 된다는 희한한 생각을 하고 있다. 나라가 빚을 지면 안 된다는 무식한 소리를 하는 사람이 있다'는 말을 했다"며 "이게 국가를 책임지겠다는 사람의 말인가"라고 비판했다.

김 비대위원장은 이어 "도대체 그 빚은 누가 갚나. 지금 청년들 아닌가"라며 "국가를 포퓰리즘 실험장으로 만들어놓고 과거 성남시장 시절 했던 것처럼 모라토리엄 선언을 하겠다는 것인가"라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안철수 공동선거대책위원장은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정말 대한민국 경제를 끝장낼 작정인가"라고 했다.

그는 이 후보가 최근 대선 유세 현장에서 "우리나라는 국민에게 공짜로 주면 안 된다는 희한한 생각을 하고 있다", "나라가 빚을 지면 안 된다는 무식한 말을 하는 사람이 있다" 등의 발언을 한 것에 대해 강하게 비판했다.

이를 두고는 "국가가 빚을 내는 것은 당연하고, 이를 우려하는 사람은 몰상식한 사람이라는 위험한 인식"이라며 "지난 2022년 대선 TV 토론 때도 '기축통화국'에 대해서 아느냐는 제 질문에 대해 이 후보는 우리나라는 기축통화국이 될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했다. 많은 전문가와 언론으로부터 비판 받았던 생각이 하나도 바뀌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중국이 아무리 노력해도 아직 기축통화국이 되지 못했으니, 우리나라는 지금 상태로는 불가능하다"며 "만에 하나 기축통화국이 되더라도 경제에 대해 만병통치약이 아니다.글로벌 신용평가사 무디스는 최근 기축통화국인 미국의 신용등급을 국가부채 증가와 재정적자 악화를 이유로 하향 조정했다"고 덧붙였다.

또 "비기축통화국인 한국의 국가부채 증가 속도는 미국의 2배 이상이다. 이대로라면 대한민국 역시 국가신용등급 강등이라는 직격탄을 피하기 어려울 것"이라며 "이런 상황에서 빚을 더 '퍼질러서' 쓰겠다는 발상은, 대한민국을 끝장내고 국민 모두를 집단 파산으로 몰아가겠다는 선언이나 다름없다"고 했다.

안 의원은 "이 빚은 모두 2030세대, 미래 세대가 갚을 수밖에 없다. 이재명식 질러노믹스는 감당할 수 없는 포퓰리즘"이라며 "대한민국의 재정과 국가 신용, 그리고 우리 아이들의 미래를 인질로 삼는 위험한 도박"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이재명 후보께 고언한다. '대장동식 한탕주의' 국가를 운영하겠다는 생각이라면 그것은 국민의 신뢰를 배신하고 나라를 팔아먹는 일"이라며 "남미의 선진국이 순식간에 후진국으로 추락하는 그 길을 그대로 가려고 하고 있다. 이제 그 헛된 망상에서 벗어나길,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간곡히 요청한다"고 말을 맺었다.

앞서 이 후보는 전날 이 후보는 이날 인천 남동구 유세에서 "우리나라는 국민 총생산이 2600조 원인데 국가 부채가 50%가 안 되는 것"이라며 "코로나19 때 경기가 죽으니까 다른 나라는 빚을 지면서 국민을 지원했는데 대한민국은 똑같거나 줄었다"고 강조했다.

특히 이 후보는 "대신 가계 부채가 확 늘어 결과적으로 다 빚쟁이가 됐고, 지금 다 문을 닫고 있다"며 "빚 갚느라 정신없어 경제가 죽고 있다. 국가 부채 48%로 낮추니까 좋아하는데 자영업자는 잔뜩 늘어서 다 망했다. 대체 뭐하는 건가"라고 비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