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보수적 정서에 수도권 편중 인프라까지…갈 길 잃은 대구 스타트업

창업지원 예산, 서울 25.7% vs 대구 1.9%

27일 오후 부산 동래구청 2층 동백홀에서 열린
27일 오후 부산 동래구청 2층 동백홀에서 열린 '2025년 동래구 청년 공공기관 채용박람회' 일반취업 상담 창구에 구직자들로 붐비고 있다. 연합뉴스

보수적인 정서가 강한 대구에서는 '안정'이 미덕으로 통하지만 이로 인해 '도전'을 먹고 자라는 벤처 창업 생태계는 좀처럼 뿌리내리지 못하고 있다. 서울에 각종 창업 인프라와 네트워크가 집중되면서 지역 청년 창업가들은 물리적, 심리적 한계에 부딪히고 있다.

올해 2월 경북연구원이 발간한 경상북도 청년창업 생태계 구축 방안 연구에 따르면 정부와 지자체의 창업지원 사업은 크게 사업화, 시설·공간·보육, 멘토링·컨설팅·교육, 행사·네트워크, 글로벌 진출, 융자·보증, 기술개발(R&D), 인력 등 8개 유형으로 구분된다. 지난해 기준 3조7천121억원 규모로 99개 기관에서 397개 사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매년 그 수가 증가하는 추세다.

중앙부처 중에서는 중기부(95.6%), 지자체 중에서는 서울시(25.7%)가 가장 많은 사업 예산을 투입하고 있다. 대구와 경북은 각각 1.9%, 4.5%에 그쳤다. 보고서는 "지역별로 청년에 특화된 창업 지원사업이 매우 제한적인 수준"이라며 "대부분 사업화 중심이며 기술개발, 융자·보증, 인력, 글로벌 진출 등 성장 단계에서의 지원은 취약하다"고 진단했다.

이주연 경북연구원 미래전략연구실 부연구위원은 "지역의 청년 창업 정책이 초기 단계에 집중돼 있어 지속적인 성장 지원이 부족하다"며 "진입 단계 이후에도 기술·인력·자금 지원이 이어져야 창업 생태계가 선순환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