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오는 8월부터 한국산 수입품 전반에 대해 25%의 고율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방침을 밝힌 가운데, 국내 정치권에서도 이에 대한 공방이 거세지고 있다.
국민의힘은 즉각적으로 이재명 대통령의 대응을 촉구하며, "당장 미국으로 가 트럼프 대통령과 직접 협상하라"고 주장했다.
박민영 국민의힘 대변인은 8일 오전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우려했던 최악의 상황이 현실이 됐다"며 "임기 한 달이 지나도록 미국 대통령과 상견례조차 성사시키지 못한 정권의 무능이 만들어낸 참사"라고 지적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7일(현지시간) 자신의 SNS 계정에 이재명 대통령 앞으로 보낸 관세 관련 서한을 공개했다.
그는 이 서한에서 "2025년 8월 1일부터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한국산 제품에 대해 부문별 관세 외에 25%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만약 한국 정부가 미국 제품에 대한 관세를 인상할 경우, 해당 인상폭만큼 미국도 한국산 제품에 추가 관세를 더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박 대변인은 "선거기간 내내 '협상은 새 정부 몫'이라며 경제부총리를 탄핵하고, 정권이 출범한 뒤에도 아무런 전략도 없이 손을 놓고 있었다"고 비판했다.
특히 "당초 미 백악관은 한덕수 당시 권한대행과의 통화 직후 '한국을 우선 순위에 두고 협상하겠다'고 발표했지만, 새 정부가 들어선 지 한 달 만에 이 같은 조치가 나온 것은 누가 책임져야 하느냐"고 반문했다.
이어 그는 "관세 유예기간이 끝나기 불과 일주일 전까지도 이 정부는 실장급 인사를 급하게 보낸 것이 전부였다"며 "그야말로 눈 뜨고 코 베인 격"이라고 덧붙였다.
박 대변인은 "국정의 기본은 경제와 외교인데, 이 정부는 출범부터 낙제점"이라며 "이재명 대통령이 직접 미국으로 날아가 트럼프 대통령과 마주 앉아 교섭하라"고 촉구했다.
마지막으로 그는 "이번 관세 협상이 제대로 마무리되지 않는다면 수십조 원의 추가경정예산과 증시 부양책 모두 무의미해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정부는 이번 관세 통보와 관련해 협상은 계속 진행 중이라는 입장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새 정부 출범 이후 국익을 최우선으로 두고 치열하게 협상에 임해왔다"면서 "단시간 내 모든 사안에 대해 합의 도출이 어려웠던 점은 사실"이라고 밝혔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의 서한은 사실상 상호관세 유예가 연장된 신호로 해석하고 있으며, 남은 기간 동안 상호 호혜적 결과 도출을 위해 협상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댓글 많은 뉴스
윤희숙 여의도연구원장, 국민의힘 새 혁신위원장
트럼프 '25% 관세' 압박에…한국, 통상+안보 빅딜 카드 꺼냈다
李대통령, 이진숙 국무회의 제외 결정…"공무원 중립의무 위반"
[단독] '백종원 저격수'가 추천한 축제…황교익 축제였다
"광주 軍공항 이전 사실상 국정과제화"…대구 숙원 사업 TK신공항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