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는 17일(목) 넷플릭스 영화 '84제곱미터'이 공개된다. 김태준 감독이 전작 '스마트폰을 떨어뜨렸을 뿐인데' 에 이어 두 번째 선보이는 스릴러 영화다. 84제곱미터 아파트로 내 집 마련에 성공한 영끌족 우성(강하늘)이 정체를 알 수 없는 층간 소음에 시달리며 벌어지는 예측불허 스릴러 작품이다.
넷플릭스 영화 '스마트폰을 떨어뜨렸을 뿐인데'를 통해 '스마트폰 해킹'이라는 일상에서 상상할 수 있는 현실적인 공포와 스릴을 담아내며 호평을 받았던 김태준 감독. 그가 이번에는 많은 이들이 공감할 수 있는 아파트에서 벌어지는 층간 소음을 소재로, 이웃 간의 첨예한 갈등을 그리며 또 한 번의 스릴러 장르를 선보인다.
김태준 감독은 "다양한 욕망들이 아파트에 집결해 있다는 생각이 들었고, 이 욕망들을 아파트라는 수직적인 공간에서 충돌시키면 재미있는 이야기가 될 거라 생각했다"라고 말했다. 우리에게 가장 현실적이고 익숙한 공간을 기반으로 다양한 인간 군상이 자신의 욕망을 위해 맞부딪히는 이야기는 공감과 함께 높은 몰입감을 선사한다. 여기에 정체를 알 수 없는 층간 소음의 미스터리와 예측불가한 상황들이 얽히고설킨 전개는 한시도 긴장의 끈을 놓을 수 없는 서스펜스와 함께 스릴러 장르적 매력을 배가시킨다. 제목인 '84제곱미터'는 아파트 국민평형이라 불리는 가장 대중적인 32평 면적을 의미하는 것으로, '국민평형'이란 말 자체로 보편적인 평수를 뜻하면서도, 이제는 하나의 기준이자 대한민국 부동산의 현실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의미가 됐다. 김태준 감독은 집의 사이즈로 기준을 정한다는 것이 본래 집의 의미와 다르게 변질되어가는 것이 아닌가 하는 고민과 함께 다양한 의도를 작품에 담아낸다.
우리에게 맞닿은 현실적인 배경이기에 '84제곱미터'의 프로덕션 역시 현실감을 최우선으로 고려했다. 김태준 감독은 "다양한 아파트들을 다니면서 조사를 했고, 최대한 많은 분들이 나의 아파트, 혹은 내가 가봤던 아파트와 닮았다고 생각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기 위해 노력했다"고 말했다.

획일화되고 모든 층이 같은 구조인 아파트의 특성을 고려해, 집 앞마다 다른 소품들을 배치해 같은 공간도 다르게 보이기 위해 노력했다. 뿐만 아니라, 각 캐릭터마다 집의 키워드를 설정해 집 내부만 봐도 캐릭터가 느껴질 수 있도록 구성했다. 우성의 집은 '감옥', 은화의 집은 '차가움과 다름', 진호의 집은 '뜨거움과 어두움'으로 접근해나갔다. '감옥'을 키워드로 잡은 우성의 집은 거실 커튼에 빛을 투과시키면 바닥에 창살 모양으로 그림자가 떨어지게 만들어, 마치 집이 감옥처럼 느껴지도록 디자인했다. 집에서 촬영된 씬이 많기에, 같은 공간이지만 매 씬마다 빛을 다르게 표현해 우성의 감정이 다채롭게 보여질 수 있도록 세심한 부분도 신경 썼다.
은화의 집은 유일하게 84제곱미터의 평수가 아니기 때문에 차별화된 존재임을 강조했다. 생활감 없는 공간과 높은 층고, 꺾인 복도들을 배치해 속내를 알 수 없는 미묘한 은화 캐릭터를 표현하고자 했다.
마지막으로 진호의 집은 어둡고 무거운 소재들을 주요 마감재로 사용, 진호의 묵직한 위압감을 표현했다.
댓글 많은 뉴스
윤희숙 여의도연구원장, 국민의힘 새 혁신위원장
트럼프 '25% 관세' 압박에…한국, 통상+안보 빅딜 카드 꺼냈다
李대통령, 이진숙 국무회의 제외 결정…"공무원 중립의무 위반"
[단독] '백종원 저격수'가 추천한 축제…황교익 축제였다
"광주 軍공항 이전 사실상 국정과제화"…대구 숙원 사업 TK신공항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