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넓은 물결 위로 저 멀리 붉은 해가 떠올랐고 오른쪽으로는 웅장한 바위 절벽 위에 자리 잡은 전각들이 보인다. 자세히 보면 바다를 향한 제일 앞쪽의 누대에 일출을 바라보는 한 인물이 앉아 있다. 그 뒤로 높은 탑이 보여 전망 좋은 이곳은 사찰이다.
얼핏 바닷가 풍경인 것 같지만 물결 건너편의 이어진 산줄기, 그 아래 숲과 지붕들은 이 절벽이 강가에 있음을 알려준다. 선면의 오른쪽 끝에 써넣은 제화에 이 선면화의 주제가 드러나 있다. 중국 당나라 시인 송지문(宋之問)의 시 '영은사(靈隱寺)'에 나오는 유명한 구절이다.
누관창해일(樓觀滄海日) 문대절강조(門對浙江潮) 겸재(謙齋)
누각에서 푸른 바다의 해를 보고, 문에서 절강의 파도를 대하네 겸재(정선)
절벽 위 누각에서는 바다가 보이지만 문을 열고 밖으로 나가면 바로 절강의 강가라는 이 시구에서 멀리 일출의 바다와 건너편 마을이 보이는 강이 함께 그려진 이 그림이 나왔다. 절강은 항주 전당강의 옛 이름이다. 문제는 '절강조(浙江潮)'다. 전당강에 웬 조수(潮水)?
강물을 자세히 보면 물결 가운데 한 줄로 길게 띠를 이룬 파도가 물보라를 일으키며 강안으로 밀려오는 부분이 있다. 강에서는 있을 수 없는 파도치는 장면이다. 이 파도는 관조해(觀潮海), 전당관조(錢塘觀潮), 회두대조回頭大潮), 전당강대조(錢塘江大潮) 등으로 부르는 전당강으로 역류해 올라오는 바닷물을 그린 것이다.
전당강의 유명한 자연 현상으로 특히 일 년 중 바다의 수위가 가장 높은 대조기(大潮期)인 음력 8월 18일 무렵 만조 때면 마치 해일이 이는 듯 어마어마한 파도가 전당강을 거슬러 올라오는 대역류 현상이 일어난다. 이 지역의 특이한 지형 때문이다.
전당강은 항주 남쪽을 돌아 항주만에서 동중국해로 들어가는데 항주 근처에서는 약 2킬로미터에 불과했던 강의 너비가 항주만에 이르면 약 100킬로미터에 달하는 나팔 모양이 되기 때문에 만조 때면 병목현상으로 바닷물이 강을 거슬러 올라오는 것이다. 이 광경을 보려고 전국에서 많은 관광객이 몰려 지금도 항주시에서 관조절(觀潮節) 축제를 연다.
송지문은 이 광경을 시로 표현했고, 정선은 이 시구에 의거해 상상의 강남을 그림으로 그렸다. 회심의 주제였던 듯 정선은 이웃사촌인 문인화가 관아재 조영석에게 '절강추도(浙江秋濤)'를 그려준 일이 있고, 그림에 안목이 높은 소론계 명사 조귀명(1693-1737)은 정선의 '절강관조도(浙江觀潮圖)'에 발문을 남겼다. 강남 갔던 제비가 흥부에게 보은의 박씨를 물고 왔듯 중국 강남을 멀다고 여기지 않았다.
훨훨 부치는 여름 부채에 딱 제격인 호쾌한 시의도(詩意圖)다.
대구의 미술사 연구자
댓글 많은 뉴스
윤희숙 여의도연구원장, 국민의힘 새 혁신위원장
[단독] '백종원 저격수'가 추천한 축제…황교익 축제였다
트럼프 '25% 관세' 압박에…한국, 통상+안보 빅딜 카드 꺼냈다
李대통령, 이진숙 국무회의 제외 결정…"공무원 중립의무 위반"
"광주 軍공항 이전 사실상 국정과제화"…대구 숙원 사업 TK신공항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