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EU, 미국 보복관세 준비…日과 '경제질서 주도 연합' 맞손 추진

2020년 스위스에서 열린 다보스 포럼에서 인사를 나누고 있는 우르줄로 폰데어라이엔(왼쪽)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로이터 연합뉴스
2020년 스위스에서 열린 다보스 포럼에서 인사를 나누고 있는 우르줄로 폰데어라이엔(왼쪽)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로이터 연합뉴스

유럽연합(EU)이 미국의 고율 관세 위협에 대응해 약 720억 유로(한화 약 116조 원) 규모의 2차 보복 조치를 준비하고 있다.

14일(현지시간) EU 집행위원회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12일 보낸 관세 경고 서한에 대응해 미국 수출품에 대한 200쪽 분량의 보복 목록을 마련했다고 폴리티코 유럽판이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해당 서한에서 협상이 결렬될 경우 8월 1일부터 EU산 제품에 30%의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통보한 바 있다.

EU가 준비한 보복안의 전체 규모는 720억 유로이며 이 가운데 공산품이 657억 유로, 농산물이 64억 유로로 대부분을 차지한다. 단일 품목 중에는 미국산 항공기 및 항공기 부품이 110억 유로(약 17조7천억 원)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보잉을 포함한 미국 항공 제조업체들의 타격이 예상된다.

이 외에도 EU는 기계류, 자동차, 화학제품, 플라스틱, 의료장비, 전기장비 등 주요 산업 제품군을 포함시켰으며, 켄터키주에서 주로 생산되는 버번위스키도 목록에 포함했다. 집행위는 "미국의 일방적 관세로 인해 무너진 무역의 균형을 복원하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보복 품목 선정에 있어 대체 공급처가 EU 내부 또는 제3국에 존재하는지, 미국 내 생산 유인을 유럽으로부터 빼앗을 위험이 있는지를 중점적으로 고려했다고 덧붙였다.

이번 보복안은 각국 정부의 공식 승인 절차를 거쳐야 발효된다. 이날 열린 EU 외교이사회 통상 부문 회의에서는 회원국들의 표결 없이 집행위의 협상 전략에 대한 지지만 확인됐다. 앞서 예고됐던 210억 유로 규모의 1차 보복안 집행도 협상 여지를 남기기 위해 내달 6일까지 연기된 상태다.

한편 EU는 일본과의 전략적 공조를 통해 장기적인 경제질서 주도권 확보에도 나섰다. 15일 요미우리신문에 따르면 EU와 일본 정부는 오는 23일 도쿄에서 열릴 정상회담에서 '경쟁력 연합체' 출범을 위한 부속 문서를 채택할 예정이다. 정상회담에는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 안토니우 코스타 EU 정상회의 상임의장이 참석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 연합체는 미국과 중국의 경제 압박에 대응해 EU와 일본이 각자의 전략 경쟁력을 한층 강화하기 위한 목적을 갖고 출범한다. 닛케이에 따르면 양측은 공동성명 초안에서 "예측 가능하고 규범에 기반한 자유롭고 공정한 경제 질서"를 지지할 뜻을 밝힐 예정이며, WTO 등 다자간 무역 질서 내에서 협력을 강화한다는 입장도 함께 담긴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