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한미 상호관세 '마지막 담판' 무산?…25일 2+2 협의 취소(종합)

베센트 美 재무장관 긴급일정으로 연기
8월1일 관세부과 앞두고 정부 부담 가중

한미간
한미간 '2+2 통상협상'을 위해 미국으로 출국하려던 구윤철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이 24일 인천국제공항 귀빈실에서 굳은 표정으로 나오고 있다. 기획재정부는 24일 오전 언론 공지를 통해 "미국과 예정됐던 25일 '2+2협상'은 미국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의 긴급한 일정으로 인해 개최하지 못하게 됐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상호관세 문제 등을 협의하기 위해 미국에서 열기로 한 한미 양국 간 '2+2 협의'가 돌연 취소됐다. 이에 따라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의 미국 출국도 전면 취소됐다.

강영규 기획재정부 대변인은 24일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부 장관의 긴급한 일정으로 인해 25일 '2+2협의'를 개최하지 못하게 됐다"고 밝혔다. 이어 강 대변인은 "미국 측이 조속한 시일 내에 개최하자고 제의했고, 한미 양측은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일정을 잡을 계획"이라고 전했다.

애초 구 부총리는 24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미국우선정책연구소(AFPI)와 피터슨 국제경제연구소(PIIE) 등 주요 싱크탱크와 면담을 할 계획이었다. 이튿날에는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과 함께 베센트 재무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2+2 협의'를 갖고, 미국의 관세 부과 조치를 막거나 최소화하는 데 총력을 기울인다는 방침이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예고한 대(對)한국 상호관세(25%) 부과(8월 1일)를 앞두고 이번 협상을 통해 사실상 마지막 '관세 담판'을 벌일 계획이던 것. 관세를 아예 적용받지 않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판단에 따라 자동차·철강 등 품목관세나 상호관세를 최대한 낮추는 데 초점을 맞춰 미국 측과 협상을 이어나간다는 방침까지 세웠다.

하지만 '관세 협의' 최대 고비이자 마지막 분수령이 될 것으로 예상한 '25일 2+2 협상'이 무산됨에 따라 '시한'을 일주일여 앞두고 정부가 상당한 부담을 안게 됐다. 더욱이 일본이 전날 미국과 무역 협상에 극적으로 타결했다는 점을 고려할 때 '발등의 불'이 떨어진 정부로서는 시간이 촉박할 수밖에 없다.

트럼프 대통령은 22일(현지시간)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을 통해 "일본과 무역 협상을 완료했다"며 "미국이 일본산 수입품에 부과하는 상호관세는 15%"라고 전했다. 이는 기존에 예고했던 25%에서 10%포인트(p) 낮아진 수치다.

구 부총리는 22일 정부 서울청사에서 비공개 대외경제장관회의를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8월 1일까지 시간이 많이 남아있지 않은 만큼, 모든 관계부처가 원팀으로 국익과 실용 차원에서 계획을 치밀하게 짜고 있다"며 "마지막 미국에 갈 때까지도 최선을 다해 촘촘한 전략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

다만 기재부는 "이미 미국에 도착한 김정관 산업부 장관과 여한구 본부장의 미국 측과 협의는 당초 계획대로 진행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장관과 여 본부장은 각각 23일과 22일 방미길에 올랐다.

한편, 구 부총리는 이날 오전 미국으로 출국하기 위해 인천국제공항에서 대기하던 중 '25일 협의 취소' 소식을 접한 것으로 알려졌다. 강영규 기재부 대변인은 "미국 측으로부터 24일 오전 9시에 전자우편으로 협의 취소 연락이 왔다"고 전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