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졸업 후 일자리 못 찾는 청년 늘어나…3년 이상 미취업 23만명

2025년 5월 경제활동인구조사 청년층 부가조사 결과
졸업 후 1년 이상 일자리 못 찾는 청년 비중 증가
미취업자 4명 중 1명 "그냥 시간 보낸다"

통계청 송준행 고용통계과장이 24일 정부세종청사에서 2025년 5월 경제활동인구조사 청년층 부가 조사 결과를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통계청 송준행 고용통계과장이 24일 정부세종청사에서 2025년 5월 경제활동인구조사 청년층 부가 조사 결과를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학교 졸업 이후 1년 이상 일자리를 찾지 못하는 청년들의 비중이 더 커지는 등 청년들의 취업난이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통계청은 이러한 내용을 담은 '2025년 5월 경제활동인구조사 청년층 부가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5월 기준 청년층 취업자는 368만2천명으로 1년 전보다 15만명 줄었다. 청년층 취업자는 인구 감소, 제조업·건설업 부진 등 영향으로 최근 줄어들고 있다. 경제활동참가율은 49.5%로 1년 전(50.3%)보다 0.8%포인트(p) 하락했다.

최종학교 졸업자 417만5천명 중 취업자는 296만2천명으로 지난해에 비해 11만5천명 줄었다. 미취업자는 121만2천명으로 7만7천명 감소했다.

산업별 취업자는 도소매업(3만3천명),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2만3천명) 등이 늘었고, 제조업(-5만4천명), 숙박음식점업(-3만3천명) 등에서 줄었다.

학교를 졸업한 청년의 미취업 기간은 지난해보다 더 길어졌다. 1년 이상 미취업 청년은 56만5천명으로 지난해에 비해 2만3천명 줄었지만 비중은 46.6%로 1%포인트(p) 상승했다.

이중 3년 이상 미취업 청년이 23만명으로, 지난해에 비해 8천명 줄었지만 비중은 18.5%에서 18.9%로 더 커졌다.

미취업자는 직업교육·취업시험 준비(40.5%)를 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4명 중 1명은 '그냥 시간을 보낸다'(25.1%)고 답했다. 지난해와 비교하면 답변 비중은 각각 2.7%p, 0.4%p 상승했다.

임금 근로자로 첫 취업까지 걸리는 시간은 11.3개월로 1년 전보다 0.2개월 줄었다. 다만 첫 직장에서 일한 기간은 평균 1년 6.4개월로 0.8개월 짧아졌다.

첫 일자리를 그만둔 사유는 보수·노동시간 등 근로여건 불만족이 46.4%로 가장 많았다. 지난해(45.5%)와 비교하면 비중이 0.9%p 더 커졌다.

구직시장을 떠나 취업자·실업자도 아닌 비경제활동인구 중 1주간 취업시험을 준비한 청년은 58만5천명으로 2만명 늘었다. 비경제활동인구 중 취업시험 준비자 비율은 14.5%로 3년 연속 하락하다가 올해 상승했다.

통계청은 "최근 고용시장 부진, 장기간 하락세에 따른 기저효과 등 영향"이라고 해석했다.

[그래픽] 졸업 후 미취업 청년 미취업 기간별 비중 추이 (서울=연합뉴스) 김민지 기자 = 24일 통계청이 발표한 \
[그래픽] 졸업 후 미취업 청년 미취업 기간별 비중 추이 (서울=연합뉴스) 김민지 기자 = 24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5년 5월 경제활동인구조사 청년층 부가조사 결과\'에 따르면 졸업하고 1년 넘게 일자리를 찾지 못하는 청년 비중이 작년보다 더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minfo@yna.co.kr 트위터 @yonhap_graphics 페이스북 tuney.kr/LeYN1 (끝)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