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미국과 관세 협상을 위해 국내 기업과 1천억달러(137조원) 이상 현지 투자 계획을 세우고, 이를 미국 정부 측에 곧 제안할 것으로 알려졌다.
24일 통상업계에 따르면 통상 대표단은 애초 25일로 예정됐던 한미 고위급 2+2 통상협의에서 이 같은 금액을 담은 한국의 투자계획을 미국 정부에 제안할 계획이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협상은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부 장관의 긴급한 일정으로 취소됐다.
정부는 관세 협상에 앞서 삼성과 SK, 현대차, LG 등 4대 그룹을 중심으로 국내 기업과 접촉해 가용한 현지 투자 금액을 취합했고, 현재까지 기업으로부터 약속받은 투자 금액은 1천억달러가량으로 전해진다.
이 금액은 국내 기업의 순수한 투자계획을 모은 것이라 정부 조달자금까지 더해질 경우 제안 금액은 더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실제로 정부는 일본처럼 투자 펀드를 만드는 방안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 관계자는 "실무선에서 펀드 조성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면서 "일단 미국에 투자할 계획이 있는 기업의 계획을 모아서 취합하고 액수를 늘리는 방향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전했다.
앞서 한국과 산업·수출 구조가 유사한 일본은 5천500억달러(약 757조원) 규모 투자 펀드를 제안해 25%로 예고됐던 상호관세를 15%로 낮췄다.
일본 투자 금액에 비해선 적지만 일본의 경제 규모가 한국과 비교해 2배가 넘는 것을 고려하면 적지 않은 금액이라는 것이 재계 관계자들의 평가다.
일본도 대미 투자 펀드에 대해 "정부계 금융기관이 최대 5천500억달러 규모의 출자·융자·융자보증을 가능하게 하는 합의"라며 JBIC(옛 일본수출입은행)와 일본무역보험을 활용하는 방안을 생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국 정부 역시 기업 투자에 더해 수출입은행, 산업은행, 무역보험공사, 한국투자공사(KIC) 등을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할 가능성이 점쳐진다.
이재명 대통령은 앞선 14일과 15일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과 구광모 LG그룹 회장과 각각 만나 만찬을 하며 대미 투자와 글로벌 통상 등에 관해 의견을 나눴다. 현대차그룹 등 국내 기업은 대대적인 관세 인상을 예고한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에 맞춰 대규모 현지 투자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현대차그룹은 지난 3월 정의선 회장이 직접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 미국 조지아주의 차량 생산 확대와 루이지애나주의 새로운 철강 공장 건설 등을 포함한 210억달러 규모의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 특히 일본이 '투자 선물 보따리'로 자동차 관세를 25%에서 12.5%로 하향 조정한 것을 고려할 때 한국의 이번 대미 현지 투자에도 현대차그룹이 큰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밖에 대한항공은 미국의 항공 제작사 보잉의 항공기와 항공기 엔진 제작업체 GE에어로스페이스와 총 327억달러(48조원) 규모의 공급계약을 맺었다. 삼성전자는 370억달러(약 54조원) 이상을, SK하이닉스는 38억7천만달러(약 5조6천억원)를 각각 투자해 미국 현지 반도체 생산 거점 건설을 추진 중이다.
통상환경에 정통한 관계자는 "일본의 대규모 투자 약속이 상호관세를 낮추는 데 일조한 만큼 한국도 경제 규모에 맞는 투자 금액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면서 "국내 기업과의 협조가 필수적이라 이미 조율을 마친 것으로 안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나경원 "경기지사 불출마", 김병주 "정치 무뢰배, 빠루로 흰 못뽑아내듯…"저격
배현진 "'이재명 피자'→'피의자'로 잘못 읽어…내로남불에 소름"
李대통령 '냉부해' 댓글 3만개…"실시간 댓글 없어져" 네티즌 뿔났다?
金총리, 李냉부해 출연에 "대통령 1인다역 필연적…시비 안타까워"
'이재명 피자' 맛본 李대통령 부부…"이게 왜 맛있지?" "독자상품으로 만들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