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호 관세 부과 시한으로 제시한 8월 1일(현지시간)을 일주일여 앞두고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취임 사흘 만에 미국행에 나섰다. 25일 예정된 한미 고위급 '2+2 협상'이 무산된 상황에서도 김 장관은 미국 측 주요 인사와 면담을 통해 관세 협상 돌파구를 모색한다는 방침이다.
24일 산업부에 따르면 김 장관은 전날 미국 워싱턴D.C.에 도착해 25일까지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과 크리스 라이트 에너지부 장관, 더그 버검 국가에너지위원회 위원장 등을 면담할 예정이다. 22일 도착한 여한구 산업부 통상교섭본부장도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일대일 면담을 진행한다.
김 장관은 23일 워싱턴D.C. 인근 덜레스 국제공항에서 "한참 진행되고 있는 관세 협상과 관련해서 우리 카운터파트와 협상하러 왔다"며 이번 방미가 정부 차원의 '올 코트 프레싱'(전방위적 협상)이라고 밝혔다.
다만 김 장관과 여 본부장의 동시 방미에 대해 '채널 분산'에 따른 협상력 약화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여 본부장이 지난달부터 세 차례 미국을 방문해 협의를 진행하고 있는 상황에서 상급자인 장관급 인사가 추가로 합류했기 때문이다. 여기에 장관급인 김 장관이 있는데 차관급인 여 본부장이 실제 협상을 담당하는 상황도 협상력 약화 요인으로 지적된다.
김 장관과 여 본부장은 미국에 그동안 제안해 온 '제조업 르네상스 파트너십'을 바탕으로 무역 협상 진전 방안을 모색하고, 조선·반도체·배터리 등 전략 산업 분야와 에너지 분야 협력 강화 방안을 강조할 예정이다.
다만 10%대 중·후반 상호 관세율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던 통상·외교 라인에서는 관세율을 25%에서 15%로 10%포인트(p)나 하향 조정하고, 자동차 품목별 관세도 절반이나 깎은 일본의 협상 결과에 당혹스러워하는 분위기도 감지된다. 미국은 트럼프 대통령의 '미국 우선주의' 어젠다와 밀접하게 연계된 자동차 관세만큼은 양보할 수 없다는 분위기가 강했다. 그런데 일본이 이를 25%에서 12.5%로 절반이나 낮추면서 상당한 협상력을 발휘한 것으로 분석된다.
김 장관은 미일 관세 합의에 대해 "아직 평가할 입장은 아닌 것 같다"면서도 "참고할 수도 있고 한미 간에 논의 중인 협상안과 비교도 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댓글 많은 뉴스
"극우와 단호히 싸우겠다"…한동훈, 국힘 전당대회 불출마 선언
정부, 北 우라늄 폐수 조사 때 '핵심물질' 검사 빼먹었다
李 대통령, '이주노동자 지게차 결박'에 분노…"세계가 한국을 어찌 볼까"
기초수급자 낙인? 소비쿠폰 선불카드에 '43만원' 금액 인쇄
韓美 외교 접촉 반복적 취소…트럼프의 의도적 밀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