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볼썽사나운 국민의힘 '극우' 논란, 무엇을 얻으려고 이러나

국민의힘의 자중지란(自中之亂)이 심각하다. 당 혁신은 기득권의 반발에 부딪혀 한 발짝도 내딛지 못하고 있다. 당권 주자들은 전직 강사 전한길 씨 입당과 윤석열 전 대통령의 '지지 세력 결집' 호소 메시지를 놓고 '극우 논쟁'을 벌이고 있다. 국민의힘이 제 앞가림조차 못 하니, 더불어민주당 독주(獨走) 앞에서 사족을 못 쓰는 것이다.

국민의힘이 23일 '윤희숙 혁신안'(▷당헌·당규에 계엄·탄핵 등에 대한 '대국민 사죄' 포함 ▷최고위원 선출 방식 변경 ▷당원소환제 강화) 논의를 위한 의원총회를 열었지만, 결론을 내지 못했다. 윤희숙 혁신위원장이 없는 가운데 열린 이날 오전 의총은 1시간 만에 끝났다. 윤 위원장 불참(不參)을 놓고 "연락했는데 안 왔다" "안 불렀다"는 진실 공방까지 벌어졌다. 볼썽사나운 작태다. 당 지도부는 사태 수습을 위해 이날 오후 의총을 다시 열었고, 윤 위원장도 참석했다. 이 의총도 혁신안 설명을 듣는 수준에 그쳤다. 이럴 거면 의총은 왜 열었는가.

'윤 어게인' '10만 입당설'을 내세운 전 씨 입당은 국민의힘 내홍(內訌)을 극단으로 몰고 있다. 한동훈 전 대표와 조경태 의원은 "극우 정당화를 막아야 한다"고 지적했고, 장동혁 의원은 "내부 총질 말라"고 반박했다. 김문수 전 장관이 "특별한 문제가 없으면 (전 씨를) 받아들여야 한다"고 하자, 안철수 의원은 "친길(친전한길)당 대표가 되려고 하는 거냐"고 비난했다. 지리멸렬(支離滅裂)한 말싸움이다. 이 와중에 윤 전 대통령은 "비상계엄이 올바른 결단이었는지는 결국 역사가 심판할 몫"이라는 내용의 메시지를 냈다. 불난 집에 기름을 부었다. 이러니 비상계엄과 대통령 탄핵 사태에 대한 사과가 진정성을 의심받고, '내란·극우 몰이'를 당하는 것이다.

국민의힘 지지율이 17%까지 떨어졌다. 혁신안은 2주 전에 발표됐지만, 구주류의 반발로 뭉개지고 미뤄지고 있다. 혁신위는 곧 좌초(坐礁)될 조짐이다. 국민의힘은 '혁신'이란 이름을 더 이상 더럽히지 말고, 국민을 우롱하지 말라.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