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통령 귀국, '정상화 해법' 펼칠까?

순방 성과 설명 회담 추진…대치 정국 해소 계기 주목

박근혜 대통령이 러시아 G20 정상회의와 베트남 순방을 마치고 11일 오후 귀국함에 따라 장기간 표류하고 있는 대치정국이 해소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될지 주목된다.

박 대통령이 귀국하는 대로 이번 순방성과를 설명하는 형식의 여야 대표 회담을 추진하고 있는 분위기가 감지되고 있다. 민주당은 내란음모 혐의로 구속된 이석기 의원 체포동의안 처리에는 협조했지만 박 대통령이 직접 나서지 않을 경우 꼬일 대로 꼬인 정국이 정상화되기는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청와대 회동'의 형식에 대해서는 야당이 주장하는 양자회동이나 청와대가 고집해 온 5자회담 등의 형식을 넘어선 여야 정치지도자 초청 회동이 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청와대에서는 귀국보고회 형식의 청와대 회동이 성사된다면 박 대통령과 김 대표가 별도로 만나는 기회를 가질 수도 있다는 점을 시사하면서 성사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다.

박 대통령으로서는 9월 순방을 마치고 곧바로 추석연휴를 맞아 서민생계 안정과 일자리 창출 등 경제활력 되살리기에 국정운영을 집중해야 한다는 점에서 정기국회 파행이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다. 특히 추석연휴 때까지도 야당을 국회로 불러들이지 못한다면 9월 정기국회 운영이 파국으로 치달을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지 않을 수 없다. 결국 국정운영의 총체적 책임을 청와대가 질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박 대통령으로서는 직접 '야당 달래기'에 나서야 한다는 것이다.

정치권에서는 박 대통령이 귀국한 11일 이후부터 추석 연휴가 시작되는 18일 사이에 청와대 회담이 성사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 흘러나오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청와대와 민주당 간의 입장 차를 좁히지 못하고 있다. 회담 형식에 대해서는 청와대와 정치권이 공감대를 갖고 있기는 하지만 회담 의제에 대해서는 한 치의 양보도 없다. 청와대는 야당이 주장하는 국정원의 댓글 의혹과 국정원 개혁문제는 의제로 받아들일 수 없다는 단호한 자세를 고수하고 있다. 이는 이정현 홍보수석이 "박 대통령께서는 지난 대선 때 국정원으로부터 어떤 도움도 받지 않았다"며 국정원 문제에 대해 분명한 선을 그었다는 점에서 야당이 주장하고 있는 '박 대통령의 사과'는 현 시점에서 성사되기 어렵다.

박 대통령과 민주당 김한길 대표가 추석연휴가 시작되기 전까지 만나지 못한다면 경색된 정국의 장기화가 불가피하다는 점에서 박 대통령의 선택과 양보가 주목되는 대목이다.

서명수기자 diderot@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