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정기국회 28일 만에 정상화…여야 30일 상임위 가동 합의

국감은 내달 14일부터 20일간

한 달가량 공전(空轉)을 거듭하던 정기국회가 30일부터 정상 가동된다. 이달 2일 개회한 지 28일 만에 정상화가 되는 것이다.

새누리당과 민주당 원내대표'원내수석부대표는 27일 정기국회 의사일정 협상테이블에 마주 앉아 30일부터 모든 상임위원회를 일제히 열고 같은 날 본회의를 열기로 전격 합의했다.

그동안 국회 정상화의 발목을 잡았던 채동욱 검찰총장 혼외아들 의혹 문제와 박근혜정부의 기초연금 공약 수정 문제에 대해서는 내달 1일 긴급현안 질의로 물꼬를 잡았다. 새누리당은 정기국회 핵심인 국정감사를 조속히 하기 위해 긴급현안 질의라는 민주당의 요구를 수용했고, 민주당도 채 총장 사퇴와 기초연금 공약 수정을 하루씩 나눠서 질의하자는 입장에서 한발 물러났다. 긴급현안 질의는 새누리당 6명, 민주당 5명, 비교섭단체 1명 등 총 12명의 의원이 나설 예정이다.

법안 처리를 위한 본회의는 30일부터 12월 10일까지 9차례 열기로 했다. 내년도 예산안 처리는 법정 시한인 12월 2일 하기로 합의했다.

여야는 또 10월 7, 8일 이틀 동안 교섭단체 대표연설을 청취하고, 10월 14일부터 11월 2일까지 20일 동안 상임위별로 국정감사에 나서기로 했다. 대정부질문은 정치, 외교'통일'안보, 경제, 교육'사회'문화 분야에 걸쳐 11월 12일에서 18일 사이에 차례로 열 계획이다. 또 11월 11일 내년도 예산안과 기금운용계획안에 대한 정부의 시정연설을 듣기로 결정함에 따라 박근혜 대통령의 국회 방문이 이 시기에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처럼 정기국회가 여야의 극적인 의사일정 합의로 일단 문은 열게 됐지만 여러 현안에 대한 이견이 많아 강한 충돌이 예상된다. 국가정보원 개혁 방향은 물론 '혼외 아들' 논란 의혹에 휩싸인 채동욱 검찰총장의 사퇴와 관련한 청와대 개입설, 기초연금 공약 후퇴 논란, 전'월세 문제를 포함한 부동산 대책, 정부의 세제개편안 등 여야가 충돌할 현안이 산더미이기 때문.

한 여권 인사는 "민주당이 정기국회 일정에 합의해준 것은 원내에서 치열한 싸움을 통해 여론을 돌리려는 전략을 쓰고 있는 것으로 보여, 험난한 정기국회가 예상된다"고 말했다. 정욱진기자 penchok@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