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솟는 국제 에너지 가격에 내달부터 전기요금이 4인 가구 기준으로 월 2천원 넘게 오른다. 가스요금도 4인 가구 기준 5천700원 더 내게 됐다. 고금리, 증시 폭락 등으로 잔뜩 웅크린 가계 경제에 에너지 물가 상승이라는 한파까지 덮쳤다.
한국전력은 30일 "연료가격 폭등에 대한 가격 신호를 제공하고 효율적 에너지 사용을 유도하기 위해 누적된 연료비 인상 요인 등을 반영, 모든 소비자의 전기요금을 1㎾h당 2.5원 인상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주택용, 일반용(갑), 산업용(갑), 교육용, 농사용, 가로등, 심야 등의 전기요금이 일제히 ㎾h당 2.5원씩 오른다. 여기에 이미 발표돼 내달부터 적용하는 올해 기준연료비 잔여 인상분인 1㎾h당 4.9원까지 더할 경우 실제로 내달부터 적용되는 가정용 전기요금 인상분은 1㎾h당 7.4원에 달한다.
결국 4인 가구(월평균 사용량 307㎾h)의 월 전기요금 부담은 2천270원 불어나게 된다.
또 한전은 산업용(을)·일반용(을) 대용량 사업자 전기요금을 추가로 인상하되 공급 전압에 따라 차등 조정한다고 덧붙였다. 산업용(을)은 광업·제조업·기타사업에 전력을 사용하는 계약 전력 300㎾ 이상 사업자에게 적용되고 일반용(을)은 마트, 백화점, 빌딩 등에서 계약 전력 300㎾ 이상인 서비스 업종 사업자를 대상으로 한다.
산업용 요금은 내달부터 ㎾h당 최소 7.0원, 최대 11.7원 인상된다. 이미 잡아둔 잔여 인상분을 더하면 실제 인상 폭은 ㎾h당 11.9∼16.6원이 된다.
같은 날 산업통상자원부는 "10월부터 민수용(주택·일반용) 도시가스 요금을 1메가줄(MJ)당 2.7원 인상한다"며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전쟁 등으로 인해 천연가스(LNG) 시장 불안이 가중되며 LNG 국제가격이 높은 추세를 유지하고 있어 요금을 인상하게 됐다"고 밝혔다.
이번 요금 인상으로 10월부터 주택용 요금은 1MJ당 16.99원에서 2.7원 인상된 19.69원, 일반용(영업용1) 요금은 19.32원으로 조정된다. 인상률은 주택용 15.9%, 일반용 16.4% 또는 17.4%다.
월별 요금은 대구 기준 가구 월평균 사용량 2천120MJ을 토대로 계산했을 때 3만8천원에서 4만3천720원으로 매월 5천720원을 더 내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한 총리 탄핵 기각에 "국민이 납득할지 모르겠다"
전한길 "쓰레기"라 한 친구는 '조국 수호대'
'국회의원 총사퇴·재선거' 제안한 이언주…與, 릴레이 지지
민주당, 韓 복귀 하루만에 재탄핵?…"마은혁 임명 안하면 파면"
반려동물 난치성 장질환 관리 '청신호'…경북대 교수팀 국내최초 FMT제품화 성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