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댐과 임하댐의 원수를 공급받은 뒤 이를 식수원으로 활용하기 위한 대구시의 '맑은 물 하이웨이' 구상에 안동시가 화답하며 구체적인 추진안까지 제시, 대구의 새 식수원 확보 사업이 급물살을 타고 있다.
하지만 대규모 국가재정이 투입돼야 할 사업인 만큼 국책사업 확정이 필수 요소로 꼽히고 있으나 정작 중앙정부는 팔짱만 끼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대구 식수원 문제 해결을 위해 지방정부들이 마련한 대안에 대해 수용의사를 드러내지 않으면서 사실상 수수방관하고 있다는 비판이 커지고 있는 것이다.
특히 대구경북내에서의 지역간 물나누기는 지난 2001년 완공돼 20년 넘게 통수되고 있는 '임하댐~영천댐 도수관로' 사례가 이미 존재, 국책사업 확정을 위한 논리 마련 과정에서도 큰 어려움이 없을 전망이다.
물 갈등으로 인해 대구와 구미의 지역 간 상처가 깊어질 대로 깊어졌고 결국 지방정부가 스스로 먹는 물 안전 확보에 나서고 있는 상황에 이르렀음에도 교통정리를 해줘야할 중앙정부가 최종 결론을 내리지 못한 채 관망만 하고 있다는 질타가 나온다.
국무조정실 고위 관계자는 18일 매일신문과 통화에서 최근 안동시가 제시한 '낙동강 수계 광역상수원 구축 사업'에 대해 "정부는 여러 안을 두고 검토 중"이라며 또다시 원론적인 답변만 내놨다.
국조실 관계자는 "아직까지 대구시의 명확하고 구체적인 안 역시 정부에 제출되지 않은 데다 현재로선 다양한 안을 두고 검토 중에만 있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권기창 안동시장은 지난 12일 관련 사업 세부계획에 대해 1단계로 안동~대구간 180㎞의 송수관로를 낙동강 하상을 따라 설치하고, 2단계로 대구~부산 간 165㎞를 연결한다는 계획 등을 밝혔다. 추정 사업비는 1조9천200억원이다.
대구시와 안동시는 이달 중 상생 협약을 체결하고 본격적으로 맑은 물 하이웨이 사업을 추진하기로 하며 속도를 올리고 있으나, 정부는 기존 협정이 여전히 유효하다는 원론적 입장만 고수하고 있어 혼란이 가중되는 모양새다.
국조실 관계자는 대구시와 구미시의 해평취수장 공동 이용을 골자로 한 '맑은 물 나눔과 상생 발전에 관한 협정'에 대해 "여전히 유효하다. 공식적으로 폐기된 것은 아니다"면서도 "기존 합의안은 그대로 진척하고 대구시 안이 나오면 그때 검토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살펴보고 있다"고 말했다.

주무 부처인 환경부도 '맑은 물 하이웨이' 사업에 대해 사실상 난색을 표하며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환경부 관계자는 통화에서 "사업 현실화 가능성에 대해선 더 논의가 필요하다"며 "대구시에서 자체적으로 용역을 하겠다고 한 만큼 향후 지켜봐야 할 것 같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지난 8월 첫 협의 이후 충분한 기간을 거쳐 결정하자고 했기 때문에 2차 협의 관련해선 아직 예정된 것도, 논의 중인 것도 없다"고 말했다.
이에 일각에서는 해평 취수장 공동 사용이 공식 입장이라고 밝힌 국조실과 환경부를 설득하고 국책사업으로 추진하기 위해선 대구시와 안동시가 더욱 전략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기존의 임하댐~영천댐 도수관로 보다 3배 이상 길어진 관로를 깔아야 하고 1조원이 훨씬 넘는 막대한 사업비까지 예상되면서 정부가 더욱 난색을 표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기 때문이다.
안동은 이미 지난 2001년 완공된 '임하댐~영천댐 도수관로' 53.1km 공사(사업비 3천530억원)를 통해 20년 넘게 임하댐 물을 하루 40만7천t씩 영천댐으로 보내고 있다. 이는 대구 금호강 하천유지수와 포항·경주·영천 등지의 용수로 쓰이고 있다.
그러나 이 도수관로 사업은 2001년 통수(通水)까지 우여곡절이 많았다. 물 부족 문제와 금호강을 살리기 위한 대안으로 추진됐지만 지자체 갈등, 주민 반대 등으로 완공까지 10년이나 걸린 것이다.
사업 추진 과정에서도 공사비가 제때 확보되지 않는 등 차질까지 빚으면서 공사 완공이 당초 계획한 1998년보다 3년이나 늦어지기도 했다.
정치권 관계자는 "과거 영천댐 도수관로가 우여곡절과 논란도 많았기에 정부도 강한 난색을 표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면서 "하지만 새로운 물줄기를 깔아야 하는 시점이 온 만큼 전략적인 설득 논리를 마련해야 될 필요성이 더 커졌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어대명' 굳힐까, 발목 잡힐까…5월 1일 이재명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