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하이브, SM '공개매수' 실패…지분 0.98% 확보

하이브, SM엔터테인먼트 로고. 매일신문DB
하이브, SM엔터테인먼트 로고. 매일신문DB

하이브의 SM엔터테인먼트 주식 공개매수가 실패로 끝났다. 당초 목표였던 SM 지분 25% 매입이 무색하게 지분을 1%도 늘리지 못했다.

하이브는 6일 공시를 통해 "공개매수를 통해 SM 주식 총 23만3천817주를 취득했다"고 밝혔다.

하이브는 지난 1일까지 진행된 주당 12만원 공개 매수를 통해 SM 지분 25%를 사들이려고 했는데 1%에도 못 미치는 0.98% 지분을 늘리는 데 그쳤다. 하이브가 가진 SM 지분은 이수만 전 총괄 프로듀서로부터 인수한 14.8%에서 15.78%로 늘어났다. 이수만 전 총괄이 보유 중인 지분(3.65%)을 합쳐도 19.43%에 그친다.

인수 경쟁자인 카카오도 지분 확보가 쉽지 않은 상태인 것은 마찬가지다.

이날 SM엔터테인먼트는 "법원의 가처분 인용 결정에 따라 카카오와의 신주·전환사채 발행 계약을 해제했다"고 공시했다. 법원이 지난 3일 "카카오가 SM의 신주 발행 등을 통해 지분 9%를 취득하는 것은 위법"이라며 이수만 전 총괄 측의 가처분 신청을 받아들였기 때문이다. SM과 카카오의 투자 계약은 현재 중단된 상태다.

하이브는 공개 매수 실패, 카카오는 신주 발행 금지 가처분으로 아직 'SM 사태'의 결말은 안갯속이다.

업계 관계자는 "지난주 법원이 이 전 총괄의 가처분을 받아들이면서 '하이브 측 판정승'으로 흐르는 듯하지만, 카카오가 향후 높은 가격에 공개 매수를 진행해 지분을 키운다면 역전승이 나올 수도 있는 상황"이라며 "끝까지 예측불허"라고 말했다.

하이브나 카카오 어느 쪽도 경영권 확보에 필요한 안정적 지분을 거머쥐지 못한 만큼, '본게임'은 오는 31일 열리는 주주총회에서 소액주주들의 표 대결로 판가름 날 가능성이 커졌다. 1% 미만을 가진 소액주주들이 보유한 지분을 합치면 60%가 넘는다. 누가 주총에서 더 많은 개미를 설득해서 끌어들이느냐로 승부가 갈릴 가능성이 높아졌다.

자연스레 양측은 소액주주 표심을 얻기 위해 움직이고 있다. 하이브는 지난 2일 주주 제안 캠페인 페이지 'SM 위드 하이브'를 열어 소액주주에게 의결권 위임을 권유하고 나섰다. SM은 소액주주들에게 서한을 보내 "하이브에 인수되면 SM의 DNA가 모두 사라질 것"이라고 호소하고 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