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황근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8일 식량 안보 강화, 스마트 농업 육성 등에서 가시적인 성과를 내겠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취임 1주년 기자간담회를 열고 "새 정부 출범 후 1년간은 국제공급망 위기 등 산적한 난제를 풀어나가면서 농업이 미래로 도약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는 시기였다"며 "정부 출범 초기 초심을 되새기면서 국민과 농업인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보여드리도록 혼신의 힘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식량 안보 강화와 관련해서는 가루쌀, 밀, 콩 등 전략작물 생산을 확대해 식량자급률을 2027년까지 55.5%로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농가 경영을 지원하기 위해선 농업직불금을 내년 3조원대, 2027년 5조원으로 확대한다.
이와 함께 올해 수확기 산지 쌀값을 한 가마(80㎏)에 20만원 수준이 되도록 관리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정 장관은 2027년까지 '청년 농업인 3만명 육성' 정책을 추진하고, 정보통신기술(ICT) 기업과 협력해 스마트농업 전환에 속도를 내겠다고 강조했다.
푸드테크, 그린바이오, 반려동물 관련 산업 등에 대한 민간 투자를 확대하기 위해 2027년까지 농식품 펀드를 1조원 규모로 조성한다.
정 장관은 지난달 폐기된 양곡관리법 개정안에 대해서는 "농가 소득 증대, 쌀값 안정을 위해 필요하다고 제시됐지만 (연구 결과에선) 정반대였다"며 "이에 지난해 8월부터 전면에 나서 반대 의사를 밝혀왔다"고 설명했다.
현재 폐기된 양곡관리법 개정안을 대체할 법안이 발의된 상태다.
정 장관은 "쌀 산업에 도움이 되느냐, 농업인에게 도움이 되느냐가 판단의 근거이고, 합당하면 얼마든지 검토하겠지만 과잉 구조를 심화하거나 농업정책을 과거로 되돌리거나 포퓰리즘이라면 정부 입장은 단호하다"고 밝혔다.
또 대학생에게 아침밥을 1천원에 제공하는 '천원의 아침밥' 사업 예산을 내년 더 확대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올해의 경우 당초 사업에 참여할 대학을 41곳 선정했다가 사업 확대에 대한 요청이 늘자 사업 규모를 확대하고 104개 대학을 추가 지정했다.
정 장관은 외식물가, 가공식품 가격 안정화와 관련해서는 "원료 할당관세 폭을 넓히고 기간을 연장하는 등 모든 방안을 강구하겠다"고 말했다.
정 장관은 지난 1984년 기술고등고시(20회)로 공직에 입문해 농식품부 등에서 일한 정통 관료로, 농업 정책 전문가로 꼽힌다.
농촌진흥청장 재직 시에는 가루쌀 산업화, 스마트팜 기술개발, 반려동물산업 등 농업의 미래 성장 산업화를 위한 '5대 농업 발전 과제'를 추진하기도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