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국조실장 "12일 후쿠시마 오염수 시찰 실무협의…보여주기식 아냐"

"오염수 안전성 검증 개별 국가 허용 이례적"

방문규 국무조정실장이 1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규제혁신 1년, 현장의 변화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방문규 국무조정실장이 1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규제혁신 1년, 현장의 변화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후쿠시마 오염수 대응 태크스포스(TF)를 주재하는 방문규 국무조정실장은 오는 12일 일본 측과 후쿠시마 오염수 시찰단 파견에 대한 실무 협의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방 실장은 지난 10일 YTN 이브닝 뉴스에 출연해 "12일 일본 측과 실무 협의가 예정돼 있다"며 "실무적으로 어느 정도의 시찰단 규모를 편성·조직하고, 어떤 분을 단장으로 할지 실무안을 만들어 협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방 실장은 "어디를 가서 어떤 내용을 볼지는 실무 협의를 통해 정할 것"이라며 "보여주기식 아니냐는 걱정이 있는데, 그렇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시찰 범위에 대해선 "국제원자력기구(IAEA)가 가진 데이터가 어떤 상태에서 채집됐는지 등을 보면 데이터 신뢰도를 알 수 있다"며 "그런 내용을 전문가들이 판단할 것"이라고 밝혔다.

시찰단 구성과 관련해선 "원자력안전위원회, 원자력연구원 등에서 최고의 전문가들로 팀을 구성하고자 한다. 실무적으로 열심히 팀을 짜고 있다"고 했다.

이번 시찰 의미에 대해서는 "오염수 안전성 검증 역할은 IAEA에서 하는 건데, 개별 국가에 와서 검증하라고 허락해 준다는 것은 굉장히 이례적"이라며 자평했다.

그러면서 "IAEA 검증단에 전문가가 들어가있고, 원자력안전기술원이라는 기관이 정보를 받아 연구하고 있는데 이번에 시찰단이 가서 국제기구의 검증에 더해 중층적으로 확인해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은 것"이라고 했다.

'시찰단'이라는 표현 대신 '검증단'이라는 단어를 사용해 국민 불안을 해소해야 한다는 일각의 지적에 대해서는 "입장을 바꿔놓고 생각하면 일본 측이 굉장히 불편해할 수 있어서 시찰이라는 용어를 쓴 것"이라고 설명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