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생 고령화 현상이 심화되면서 일터도 점점 늙어가고 있다.
2050년에는 국내 취업자 평균 연령이 약 54세까지 높아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20일 대한상공회의소 지속성장이니셔티브(SGI)는 '부문별 취업자의 연령분포 및 고령화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2022년 우리나라 취업자 평균 연령을 약 46.8세로 추정했다.
통계청 장래인구추계를 바탕으로 현재 성별·연령별 고용률이 유지된다는 가정하에 취업자 평균연령을 구한 결과, 2030년대에 50세를 넘고 2050년에 53.7세를 기록할 것으로 예측됐다.
이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의 2050년 취업자 평균연령 예상치 43.8세보다 10세 가량 많은 수준이다.
지난해 산업별 전체 취업자 중 50세 이상 비중은 제조업에 속한 산업 중 의류(59.8%), 가죽·신발(59.6%), 목재(57.3%), 섬유(52.6%) 등 이른바 저위기술 산업에서 절반을 넘었다.
서비스업은 부동산(67.8%)과 사업지원(57.1%) 저부가가치 업종에서 50세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지역별로 50세 이상 취업자가 절반 이상인 곳은 전남(58.7%)에 이어 경북(55.2%)이 가장 많았고 전북(53.9%), 경남(51.7%) 등이 뒤를 이었다.
상의는 "경제·산업 패러다임이 연구개발(R&D), 소프트웨어 등 무형자산 중심으로 전환돼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서는 젊은 기술 인재들의 창의적인 아이디어 공급이 매우 중요해지고 있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구미 '탄반 집회' 뜨거운 열기…전한길 "민주당, 삼족 멸할 범죄 저질러"
尹 대통령 탄핵재판 핵심축 무너져…탄핵 각하 주장 설득력 얻어
尹 탄핵 선고 임박했나…법조계 "단심제 오판은 안 된다" 우려도
홍준표 "탄핵 결정도 안 났는데 이재명 띄우기 여론 조사 기승"
권영세 "美 민감국가 지정, 이재명 국정장악 탓…탄핵 악용 막아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