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7월까지 2차전지 핵심 소재인 양극재의 대미(對美) 수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3배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8월 미국이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을 시행한 뒤 전기차에 들어가는 국내 배터리가 세액공제 수혜를 입었고, 양극재 수출도 빠르게 늘었다는 분석이다.
7일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올해 1~7월 대미 양극재 수출액은 18억3천600만달러로, 지난해(6억6천100만달러)보다 177.8% 급증했다. 양극재 대미 수출액은 2021년 1월 900만달러에 불과했지만, 이후 수출이 급증해 지난해 5월 1억600만달러로 처음으로 1억달러를 넘겼다. 올해 3월에는 3억2천600만달러로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올해 들어 지난달까지 양극재 대미 수출액은 매달 2억달러 중후반을 오르내리며 순항 중이다.
한국산 양극재의 대미 수출이 폭발적으로 증가한 이유는 미국 IRA가 큰 영향을 미쳤다. 미국 정부는 IRA를 통해 양극재와 음극재를 배터리 '부품'이 아닌 '구성 소재'로 분류했다. 이에 따라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 체결국인 한국에서 양극재를 생산한 경우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됐다.
IRA는 미국 시장에서 중국산 양극재에 대해 한국산 양극재가 경쟁 우위를 확보할 수 있는 계기가 됐다. IRA 발효와 함께 한국 배터리 기업들은 미국 전기차 제조업체와 합작법인을 설립해 북미 배터리 공장을 신설하고 증설 투자를 활발하게 하고 있다. 지난해 하반기 이후 한미 합작으로 북미 배터리 공장이 속속 가동을 본격화하면서 대미 양극재 수출이 증가한 측면도 있다.
다만 미국을 포함해 국내 양극재 공장의 해외 이전 가능성에 대비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IRA의 핵심 광물·배터리 요건을 충족하려면 북미 직접 생산이 늘어날 수밖에 없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한국무역협회 관계자는 "한국 양극재 기업의 해외 이전이 늘어날 것으로 보이는데, 국내에도 산업 기반을 유지할 수 있는 인센티브를 정부가 함께 고민해야 할 때"라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한 총리 탄핵 기각에 "국민이 납득할지 모르겠다"
'국회의원 총사퇴·재선거' 제안한 이언주…與, 릴레이 지지
전한길 "李대표 사법리스크 때문에 대한민국 법치·공정 무너져"
홍준표 "탄핵 기각되면 대구시장 계속…역점적으로 사업 추진"
민주당, 韓 복귀 하루만에 재탄핵?…"마은혁 임명 안하면 파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