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간 여름철 물놀이 사망 사고 중 절반은 본격적인 휴가 기간인 8월에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행정안전부는 지난 2018년부터 2022년까지 물놀이 안전사고 사망자는 총 136명으로 6월 16명(11.8%), 7월 52명(38.2%), 8월 68명(50%)으로 조사됐다고 13일 밝혔다.
휴가 성수기인 7월, 8월 안전사고 발생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특히 8월은 피서객이 물가에 몰려 안전사고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원인별로는 물에 떠내려가는 물건을 잡으려다 사고를 당하는 등 안전 부주의(44명)가 가장 빈번했고 수영 미숙(41명)이 뒤를 이었다. 음주 수영(22명), 파도·급류에 휩쓸림(13명), 튜브 전복(6명) 등도 원인으로 지목됐다.
장소별로는 하천(강)이 43명으로 사망 사고 발생이 가장 많았다. 뒤이어 계곡 40명, 해수욕장 32명, 바닷가 20명 순이었다.
행안부는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계곡과 하천, 해수욕장에서 물놀이 중 튜브나 신발, 장난감이 떠내려가도 무리하게 잡으려고 따라가지 말아야 한다고 당부했다. 특히 아이들은 어른에게 도움을 요청하도록 사전에 안전교육을 해야 한다.
또 수영 대결을 하는 등 자기 능력을 과신한 무리한 행동은 자제해야 하며 음주 후에는 절대 물에 들어가지 말아야 한다.
물놀이할 때는 급류나 소용돌이가 있는 위험구역과 저수지, 댐, 방파제 등 금지구역은 들어가지 않아야 한다. 물놀이가 가능한 곳이라도 이안류(離岸流·바닷물이 해안에서 바다 쪽으로 빠르게 빠져나가는 현상) 발생이나 해파리 출현 정보를 사전에 파악하고 호우특보가 발표되면 즉시 물놀이를 중단하도록 한다.
물에 빠진 사람을 발견하면 소리쳐 주변에 알려 119 신고를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직접 물에 뛰어들기보다는 주변의 튜브나 스티로폼 등을 활용해 구조해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경북대 '반한집회'에 뒷문 진입한 한동훈…"정치 참 어렵다"
'전한길뉴스' 출범하자마자 홈페이지 마비…보수층 대안 언론 기대
유승민 "박근혜와 오해 풀고싶어…'배신자 프레임' 동의 안 해"
野 의원들, '계란 투척' 봉변…경찰, 헌재 시위대 해산 시도
"尹 만세"…유인물 뿌리고 분신한 尹 대통령 지지자, 숨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