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원 페이지 여론 조작 의혹으로 논란의 중심에 선 '다음(Daum)' 이용자 수가 PC, 모바일에서 모두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일 온라인 데이터 분석 업체 '인터넷트렌드'에 따르면 이달 1일부터 3일까지 MAU(월 1회 이상 서비스를 쓴 이용자 수)를 바탕으로 한 다음의 점유율은 3.9%로 집계됐다. 네이버(57.5%), 구글(32.9%)과 큰 격차를 보인다.
모회사인 카카오는 지난 5월4일부터 다음을 사내 독립기업(CIC)로 운영하기 시작했다. 신속하고 독자적인 의사결정이 가능한 조직체계를 확립하고 서비스 경쟁력을 제고하겠다는 취지다.
그러나 5월 당시 5.1%였던 다음의 MAU 점유율은 6·7월 4.5%, 8·9월 4.1%로 감소했다. 이달에는 4%를 밑돌고 있는 상황이다. 뉴스 댓글을 실시간 소통 방식으로 변경하고, 개방형 커뮤니티 서비스를 출시하는 등 서비스 개편 노력에도 불구하고 이용자 수는 꾸준히 줄어들고 있다.
모바일 부문에서도 점유율을 높이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모바일 빅데이터 기업 '아이지에이웍스'의 통계를 보면 5월 기준 다음의 MAU는 804만1천760명이었으나, 이후 이용자가 이탈하면서 지난달 MAU는 762만4천265명으로 쪼그라들었다.
최근 항저우 아시안게임 남자 축구 한국·중국의 경기 당시 다음 응원 페이지에서는 중국팀을 '클릭 응원'한 비율이 90%를 넘어서며 논란이 확산됐다. 그동안 뉴스 노출 알고리즘, 댓글 등과 관련해 편향성에 대한 문제 제기가 끊이지 않았다.
카카오의 주력 서비스인 카카오톡의 위상도 흔들리고 있다. 지난달 카카오의 메신저 카카오톡의 MAU는 4천161만4천394명으로 1위를 유지했으나 2위인 구글 유튜브(4천137만6천45명)의 추격이 가속화되는 추세다. 연내 유튜브가 카카오톡을 추월해 플랫폼 1위를 차지할 가능성도 높다.
댓글 많은 뉴스
'30번째 탄핵' 野, 崔대행 탄핵소추 발의…'줄탄핵' 무리수 비판 거세 [영상]
전한길 "李대표 사법리스크 때문에 대한민국 법치·공정 무너져"
[속보] 헌재, 한덕수 총리 탄핵소추 '기각'…직무 복귀
이재명, 유발 하라리에 'K엔비디아' 언급…"공산주의자라 공격 받아"
'잠룡' 김부겸, 민주 '최상목 탄핵' 두고 "'몸조심하라' 부적절 발언 뒤이은 무리한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