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또 역대 최저…지난달 신생아 수 1만7천926명

저출산 고령화가 심화하면서 지난 6월 인구가 같은 달 기준 역대 최대폭으로 자연 감소했다. 4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6월 인구 자연 증감분(출생아 수-사망자 수)은 -8천205명으로 관련 통계가 있는 1981년 이래 같은 달 기준으로 가장 감소 폭이 컸다. 사진은 이날 서울 시내 한 구청에 마련되어 있는 출생신고서. 연합뉴스
저출산 고령화가 심화하면서 지난 6월 인구가 같은 달 기준 역대 최대폭으로 자연 감소했다. 4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6월 인구 자연 증감분(출생아 수-사망자 수)은 -8천205명으로 관련 통계가 있는 1981년 이래 같은 달 기준으로 가장 감소 폭이 컸다. 사진은 이날 서울 시내 한 구청에 마련되어 있는 출생신고서. 연합뉴스

지난달 출생등록한 신생아 수가 사상 처음으로 1만8천명 아래로 떨어지면서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9일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출생등록한 신생아는 총 1만7천926명이었다. 지난해 같은 달 2만2천437명을 기록한 점을 감안하면 1년 새 20% 가까이 줄어든 셈이다.

지난달 신생아 수는 역대 최소 출생인구를 기록했던 올 4월(1만8천287명)보다도 더 줄었다. 월별 출생등록 신생아 수는 지난해 12월 2만 명 아래로 떨어졌다가 연초 잠시 반등한 후 다시 감소세로 돌아섰다.

지난달 출생등록 신생아 중 남아는 9천307명, 여아는 8천619명이었다.

전문가들은 코로나19 확산 이후 결혼 자체가 줄어들면서 신생아 수 감소세가 빨라지고 있다고 해석하고 있다. 실제로 지난해 혼인 건수는 19만1천690건으로 1970년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후 가장 낮았다. 코로나19 확산 직전이던 2019년(23만9천159건)과 비교하면 3년 만에 약 20%나 줄었다.

최근 국내 연간 출생아 수는 가파르게 줄고 있다. 2017년 35만7천800명으로 처음 40만 명 선이 무너진 데 이어 불과 3년 만인 2020년 27만2천337명으로 30만 명 선도 무너졌다. 2021년 출생아 수는 26만562명, 2022년 24만9186명 등으로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 상반기(1~6월) 누계 출생아 수는 12만343명이었다. 통상 연말보다 연초에 출생아 수가 많은 걸 감안하면 올해 출생아 수는 24만 명을 밑돌 가능성이 적잖다.

조영태 서울대 보건학과 교수는 "코로나19 확산 시기에 결혼을 할 수 있었던 젊은층 상당수가 결혼 연기 대신 포기로 가닥을 잡으면서 혼인 건수가 늘지 않고 있다"며 "3, 4년 후 결혼적령기가 다가오는 1994년생들이 72만 명 정도로 많이 태어난 만큼 이들을 목표로 두고 출산율 제고 정책을 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