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KT, 생성형 AI 서비스로 기업의 디지털 전환 선도

AICC와 지니TV, AI통화비서 등 기존 AI 사업 '믿음'으로 고도화

KT AICC 서비스 화면. KT대구경북광역본부 제공.
KT AICC 서비스 화면. KT대구경북광역본부 제공.

생성형 인공지능(AI)에 대한 열기가 뜨겁다. 지난해 챗GPT가 쏘아 올린 AI 열풍에 스마트폰 제조사를 비롯한 통신사 등 산업계 전반에서 '내 손안에 AI 시대'를 거머쥐기 위해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이같은 변화 속에 빈틈없는 네트워크 인프라와 혁신적인 인공지능 기술을 가진 KT의 행보가 눈길을 끈다.

지난달 31일 KT는 기자설명회를 통해 초거대 AI '믿음(Mi:dm)'을 출시했다. 믿음은 총 4가지 모델로 구성했다. 경량 모델부터 초대형 모델까지 기업의 규모와 사용 목적에 맞게 완전 맞춤형(Full Fine-Tuning)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KT는 국내 업계 최초로 초거대 AI를 활용하고 학습하고자 하는 모든 기업에게 조(兆)단위 데이터의 사전 학습을 완료한 자체 파운데이션 모델(Foundation Model) 믿음(Mi:dm)을 개방키로 했다. 믿음은 전용 포털 'KT 믿음 스튜디오(KT Mi:dm Studio)'를 통해 활용 가능하며, 고객에게 보다 쉽고 편안한 개발 환경을 제공한다.

한편, KT는 인공지능고객센터(AICC)와 지니TV, AI통화비서 등 기존 AI 서비스를 '믿음'으로 고도화하고, KT의 무선서비스, 차량 정보 시스템(IVI), 로봇 등에도 초거대 AI를 적용한 사업화에 나선다. 기존 서비스가 룰베이스(Rule Based) 모델을 통해 정해진 답변만을 제공하는 한계가 있었다면, 앞으로는 생성형 AI의 창의적이고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제공할 예정이라는 게 KT 측의 설명이다.

국내 AICC 분야를 선도해 온 KT는 국내 최대 규모의 'AI 퍼스트' 고객센터와 다양한 AICC 구축 사업을 통해 차별화된 핵심 기술과 서비스 역량도 축적해왔다. 이같은 경험을 KT 고객센터에 AI를 적용해 상담사 업무의 질을 높이고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켰다. 아울러 비용절감 효과도 거뒀다. 이를 은행·카드·보험 등 B2B 사업에도 적용, KT는 B2B 구축형 AICC 시장도 선두하고 있다.

KT는 믿음을 활용해 최근 IT 서비스들이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한 'SaaS'(서비스형 소프트웨어)로 변화하는 글로벌 트렌드에 발맞춰, 클라우드 위에 통신인프라·상담애플리케이션·AI 솔루션까지 올인원으로 제공하는 SaaS형 AICC 서비스 '에이센 클라우드'(A'Cen Cloud)도 내놨다.

KT대구경북광역본부 관계자는 "KT는 앞으로도 초격차 인공지능 기술을 바탕으로 기업들의 디지털 전환을 지원하는 혁신적인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더 나은 비즈니스 환경을 구축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