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제 허리' 40대 인구 실종…취업자 수도 급감

서울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서 일자리 정보 게시판을 살펴보는 시민. 연합뉴스
서울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서 일자리 정보 게시판을 살펴보는 시민. 연합뉴스

40대 인구가 급감하고 있다. '경제 허리'로 꼽히는 40대 취업자 수도 큰 폭으로 감소하면서 생산인구 감소로 인한 경제둔화가 현실화될 것이란 우려도 커지고 있다.

26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달 40대 인구는 790만9천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13만9천명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감소 폭은 2019년 8월(-14만1천명) 이후로 4년 3개월 만에 가장 컸다. 전 연령대에서 15∼29세 청년층(-17만8천명)에 이어 가장 큰 감소세를 보였다.

같은 기간 대구지역 40대 인구도 36만4천662명에서 35만7천242명으로 7천420명 감소했다. 경북의 경우 37만607명에서 35만8천524명으로 1만2천83명 줄었다.

40대 취업자 수도 함께 줄어드는 양상이다. 올해 11월 40대 취업자 수는 전년 동월 대비 6만2천명 감소한 625만4천명으로 집계됐다. 같은 달 기준 2003년(617만2천명) 이후로 20년 만에 가장 작은 수준이다.

지역별 통계를 보면 올 3분기 기준 대구경북의 40대 취업자 수는 56만6천명으로, 전년 동기(57만8천명) 대비 1만2천명 줄었다.

11월 기준 40대 취업자 수는 2014년 694만7천명, 2015년 693만5천명으로 690만명대를 기록하다가 지속해서 감소해 올해 620만명대까지 쪼그라들었다.

올해 1∼11월 40대 취업자는 전년 동기 대비 5만7천명 감소해 인구와 마찬가지로 감소 폭이 청년층(-10만명) 다음으로 컸다. 40대는 6년간 유지하던 일자리 규모 비중 1위도 지난해 50대에 넘겨줬다.

지난해 연간 2천645만개 일자리 가운데 50대가 점유한 일자리는 635만개로 24%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2016년 통계 작성 이래 처음으로 40대를 제쳤다. 40대는 631만 개로 23.8%를 차지했다.

40대 인구 감소는 1968∼1974년에 태어난 '2차 베이비붐 세대'가 50대에 접어들면서 나타난 현상으로 풀이된다.

한국조세재정연구원은 '2019∼2023 국가재정운용계획 : 일자리 보고서'를 통해 "2차 베이비붐 세대가 대부분 50대로 진입하는 2020년대 중반이 되면,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취업자 증감은 큰 폭으로 축소될 것"이라고 밝혔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