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반도체, 디스플레이, 이차전지 등 한국 6대 첨단산업 세계시장 비중 4년새 25.5% 하락

경총 2018∼2022년 6대 첨단산업 수출 점유율 분석, 대만·독일은 점유율 상승
반도체 수출시장 점유율 32.5% 급락, "성장잠재력 제고 대책 추진돼야"

부산항에 적재된 수출용 컨테이너 박스들. 연합뉴스
부산항에 적재된 수출용 컨테이너 박스들. 연합뉴스

반도체, 디스플레이, 이차전지 등 국내 6대 첨단산업 수출시장 점유율이 4년 새 4분의 1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반도체의 경우 점유율이 큰 폭으로 하락하면서 세계 시장 비중을 늘리기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는 이같은 내용을 포함한 '6대 첨단전략산업 수출시장 점유율 분석' 보고서를 21일 발표했다. 해당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6대 국가첨단전략산업 수출시장 점유율은 2018년 8.4%에서 2022년 6.5%로 25.5% 하락했다.

경총은 일반 변화율 공식을 적용하면 하락률은 22.6%지만, '로그 차분' 방식을 이용한 결과 하락률이 25.5%로 도출됐다고 설명했다.

6대 국가첨단전략산업은 정부가 지난해 3월 발표한 '국가첨단산업 육성전략'에서 언급된 ▷반도체 ▷디스플레이 ▷이차전지 ▷미래차 ▷바이오 ▷로봇 산업을 칭한다.

수출시장 점유율은 한 국가의 수출이 세계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으로, 수출경쟁력을 측정하는 지표로 활용된다.

경총에 따르면 2022년 한국의 6대 첨단산업 수출액은 총 1천860억달러로, 2018년 1천884억달러 대비 1.2% 감소했다. 한국의 전체 산업 수출에서 6대 첨단산업 수출이 차지하는 비율도 같은 기간 31.1%에서 27.2%로 줄었다.

수출시장 점유율은 25.5% 떨어졌는데, 경쟁국인 중국(-2.7%), 미국(-1.3%)보다 하락 폭이 컸다. 대만(31.8%)과 독일(4.6%)의 수출시장 점유율은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2022년 6대 첨단산업 수출시장 점유율 순위에서 한국은 중국(14.1%), 독일(8.3%), 대만(8.1%), 미국(7.6%)에 이어 5위에 자리했다. 중국 다음으로 2위를 차지한 2018년에 비해 3단계 아래로 내려갔다.

경총은 2018년 대비 2022년 전 세계 6대 첨단산업 총수출은 24.2% 늘었지만, 한국 6대 첨단산업의 수출은 1.2% 줄면서 결국 수출시장 점유율 감소로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수출 규모가 가장 큰 반도체의 수출시장 점유율은 같은 기간 13.0%에서 9.4%로 32.5% 하락했다. 순위는 중국(15.7%), 대만(15.4%)에 이어 3위였다.

세계 반도체 수출이 같은 기간 31.8% 증가했는데도 한국의 반도체 수출은 감소(1천293억달러→1천285억달러)하면서 수출시장 점유율 하락으로 이어진 것으로 분석됐다.

하상우 경총 경제조사본부장은 "글로벌 기술 경쟁이 한층 치열해지는 가운데 반도체를 비롯한 우리나라 첨단산업의 수출시장 점유율이 약화하고 있다"며 "국가 성장잠재력 제고를 위한 더욱 전향적인 대책이 추진돼야 한다"고 전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