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오늘부터 군의관·공보의 투입…전공의 이탈률 92.9%

의대 교수들, 비상총회·시국선언 등 '전공의 보호' 나서

10일 서울 시내 한 종합병원에서 이동하고 있는 환자와 의료진들. 연합뉴스
10일 서울 시내 한 종합병원에서 이동하고 있는 환자와 의료진들. 연합뉴스

전공의 집단 이탈로 의료공백이 지속하자 정부가 11일부터 군의관과 공보의를 의료 현장에 투입해 비상진료체계를 강화한다.

이탈 전공의에 대한 면허정지 처분 통지가 속도를 내고 있는 가운데 의과대학 교수들의 집단 사직 움직임을 보이며 이번 주가 또다른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보건복지부는 이날부터 4주간 병원 20곳에 군의관 20명, 공중보건의사 138명 등 총 158명을 투입한다.

투입되는 인력은 중증·응급 환자의 수술과 진료 지연 등의 어려움을 해소하는 역할을 맡을 것으로 알려졌다.

100개 주요 수련병원의 이탈 전공의 수는 지난 8일 오전 11시 기준 1만1천994명으로, 이탈률 92.9%다.

▶복지부는 업무개시명령에도 현장에 복귀하지 않은 전공의들에게 이번 주까지 1차로 면허정지 사전통지서를 발송할 예정이다.

지난 5일부터 이탈한 전공의들을 대상으로 면허정지 사전통지서를 발송해왔고, 통지서를 받은 전공의들은 이달 25일까지 의견을 제출해야 한다.

통지서에는 의료법에 따른 업무개시명령을 받았는데도 업무에 복귀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돼 관련 규정에 따라 면허 처분에 들어간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정부는 미복귀 전공의들이 '폐문부재'(문이 잠겨있고 사람이 없음) 등으로 통지서를 회피할 경우에 대비해 발송의 실효성을 높이고자 이후에도 재차 통지서를 발송할 예정이다.

▶전공의에 대한 행정처분 절차가 본격적으로 진행되면서 의대 교수들의 집단행동 움직임도 보이고 있다.

서울의대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는 11일 오후 긴급총회를 열고 집단행동 여부 등을 논의한다. 단체로 사직서를 제출하는 등 교수 집단행동에 대한 의견도 오갈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아산병원·세브란스병원 등 8개 병원 교수와 전문의 16명은 소속과 실명을 밝히고 '의료 붕괴를 경고하는 시국선언'이라는 온라인 사이트를 개설해 전자 설문 방식으로 연대 서명을 받고 있다.

사이트 운영진에 따르면 전날 오후 4시까지 전국의 수련병원 소속 교수와 전문의 3천523명, 기타 소속 의사 등 1천657명이 서명에 동참해 총 참여 인원은 5천180명을 기록했다.

이들은 시국선언에서 "정부는 전공의들을 향한 위압적 발언과 위협을 중단하라"며 "정부와 의료계 대표는 함께 허심탄회하게 합리적 방안을 논의해 해법을 도출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