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범죄 발생 건수는 줄고 있지만, 시민들이 범죄에 대해 느끼는 불안감은 더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남성보다 여성의 불안감이 높았으며 60대 여성 1인 가구의 일상 범죄 불안감이 가장 컸다.
19일 서울시여성가족재단에 따르면 재단은 최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서울시민의 범죄 두려움 현황 및 영향 요인' 보고서를 펴냈다.
보고서는 통계청의 '2022년 사회조사'를 바탕으로 만 20세 이상 서울시민 3천7명의 답변 내용을 재분석한 것이다.
보고서를 보면 서울시 전체 범죄 건수는 2020년 29만6천178건에서 2022년 27만9천507건으로 1약6천671건(5.6%) 줄었다. 살인과 강도, 절도, 폭력, 성폭력 등 5대 범죄도 2020년 9만2천679건에서 2022년 9만339건으로 2천340건(2.5%) 감소했다.
하지만, 줄어든 범죄 건수와 달리 서울시민의 범죄 불안 정도는 2020년 3.13점에서 2022년 3.17점으로 되려 늘었다. 이는 1점(매우 안전)~5점(매우 불안) 척도로 조사한 결과로 점수가 높을수록 범죄 불안 정도가 높음을 뜻한다.
일상 범죄 두려움 정도를 1~10점 척도(매우 안전하다~매우 불안하다)로 살펴보면 여성(6.38점)이 남성(5.40)보다 높게 나타났다. 연령대별로 나누면 60대 이상이 6.18점으로 가장 높았고 40~50대(5.81점), 20대(5.79점) 순이었다.
특히, 모든 연령 구간에서 남성보다 여성의 두려움이 높게 나타났는데 60대 이상 여성의 일상 범죄 두려움 정도가 6.50점으로 가장 높았다.
가구 형태별로는 비(非) 1인 가구(5.92점)가 1인 가구(5.86점)보다 두려움 정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