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장학재단이 연간 수십억원의 광고·홍보비를 지출하면서 언론사 선정 및 비용책정 등에 있어서 별도의 기준을 마련하지 않은 채 무분별하게 집행해온 것으로 드러났다.
8일 한국장학재단의 2019~2024년 광고·홍보비 집행내역에 따르면 재단은 2019년 MBC와 MBC넷 등에 광고·홍보비 4억6천여만 원을 집행했다. 이는 재단의 2019년 전체 광고·홍보비(12억7천800만원)의 36%에 이른다. MBC는 2020년에는 1억원, 2021년에는 2억6천400여만 원을 배정받았다. 그러나 어찌된 일인지 2022년은 0원, 2024년(8월까지)도 0원이며 2023년은 iMBC에 600만원을 집행된 것이 전부다.
매년 2억~6억원을 집행한 KBS, 2022년을 제외하고는 매년 1억원 이상을 집행한 SBS와 대조를 이룬다.
MBC의 경우 2022년 윤석열 정부가 들어서면서 각을 세우자 광고·홍보비가 전액 삭감된 것 아니냐는 의혹까지 제기되고 있다.
지난해 1월 취임한 배병일 한국장학재단 이사장은 윤 대통령이 검찰 총장 시절이던 2020년 검찰인권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는 등 친윤 인사로 분류된다.
한국장학재단 국민소통부 측은 "광고·홍보비 지출과 관련된 기준은 없다. 국민들이 많이 접할 수 있도록 언론사 배정을 골고루 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재단 측의 해명과 달리 MBC뿐 아니라 지난 6년 간 종합편성채널에는 광고홍보비가 단 한푼도 집행되지 않았다.
일선 공공기관들은 대상언론사의 광고·홍보비를 책정할때 통상 방송사 시청률, 신문사 발생·유가부수 등을 기준으로 하지만 한국장학재단의 집행 내역을 살펴보면 이 같은 기준을 찾아 볼수 없다.
재단이 올해 22억원을 협찬한 KBS 프로그램의 평균 시청률은 2%에 불과했다.
신문 광고비의 경우 유가부수가 1천여 부인 한 지방지가 발생부수 16만부가 넘는 중앙지보다 50% 이상 높게 집행됐다.
광고·홍보비 집행시기도 연말에 집중적으로 몰려있어 연말 예산 이월을 앞두고 마구잡이식 집행 행태를 보이고 있다.
2019년 12억7천여만 원의 광고비 중 11~12월 집행된 금액은 9억4천700여만 원으로 전체의 74.1%에 이른다. 2020년에는 73.0%, 2021년 78.9%로 연말에 70% 이상 몰려있다. 지난해 58%로 낮아졌지만 연말 집행비율이 여전히 과도하다는 지적이다.
한국장학재단 측은 "연초와 연말 장학금 지급에 대한 홍보를 많이 해야 하기 때문에 연말에 많이 집행되는 면이 있다"고 해명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