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고액 자산가들은 2025년 금융시장을 '갈피를 잡을 수 없는 금융 환경'과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대안을 준비해야 하는 금융 환경'으로 내다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증권은 자산 30억원 이상 고액 자산 고객 341명을 대상으로 '2025년 주식 시황 전망 및 투자 계획'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고 2일 밝혔다.
조사 결과, 새해 금융시장을 가장 잘 표현하는 사자성어로 '오리무중(갈피를 잡을 수 없는 금융 환경)'과 '교토삼굴(다양한 대안을 준비해 위기에 대응)'이 각각 30%를 기록하며 가장 많은 선택을 받았다.
다음으로는 ▷'전전긍긍(두려움이나 걱정으로 마음이 편치 않은 상태)' 14.1% ▷'고진감래(일시적인 손실이나 어려움을 견디고 버티면 결국 수익을 얻을 수 있음)' 12.8% 등이 뒤를 이었다.
새해 코스피의 연말 지수 상승률을 물어보는 질문에도 지난 2024년 초에는 10% 이상 상승할 것으로 기대한 응답자가 약 80%에 육박했다. 하지만 올해에는 51% 수준에 그쳤다. 응답자들이 선택한 2025년 코스피지수의 평균 등락률은 약 5.2% 수준의 증감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신승진 삼성증권 투자정보팀 팀장은 "한국 시장의 상대 밸류에이션 매력에 대해서는 공감대가 형성돼 있다"며 "하지만 국내외 불확실성 지속으로 투심이 쉽게 돌아오지 못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또 새해 들어 주식형 자산의 비중도 줄일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주식형 자산을 늘리겠다는 응답자의 비율은 44.9%다. 지난해 62.5% 대비 하락했다.
투자를 희망하는 국가로는 미국이 47.8%의 응답률을 기록하며 우리나라를(40.6%) 넘어 1위를 기록했다. 지난해는 우리나라가 47.3%로 1위였고, 미국은 39.5%의 비율을 보였다. 하지만 최근 국내 불확실성으로 인해 순위가 뒤바뀐 것.
국내 주식 시장의 반등 시기 및 최적의 매수 타이밍을 물어보는 질문에는 2025년 2분기라는 의견이 38.5%로 가장 높았고, 3분기도 30.4%로 뒤를 이었다.
특히 2025년 금융시장의 가장 중요한 화두가 무엇이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절반 이상(55.9%)이 '트럼프 집권 2기의 정책'을 꼽았다. 이외에도 '우리나라 정세(17.2%)', '미-중 무역 분쟁 해소(8.4%)', '주요국의 금리 인하(7.0%)' 등이 선택을 받았다.
삼성증권 관계자는 "새해에는 트럼프 집권 2기를 비롯해 우리나라의 정세, 전 세계 지정학적 리스크, 주요국의 금리 변화 등으로 투자자들이 느끼는 금융 시장의 불확실성이 소폭 확대됐다"며 "미국을 중심으로 한 투자자들의 주식 투자 선호가 여전히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딱풀 공문" 공수처 관저 출입 공문 위조 의혹…공수처 "위조 NO"
권영세 "尹 체포, 대한민국 법치주의 흑역사로 기록될 것"
"나훈아 78세, 비열한 노인"…문화평론가 김갑수, 작심 비판
尹 "부정선거 있다" 주장에…선관위 "수용 어려워"
정진석 "경찰·공수처, 尹 남미 마약 갱단 다루듯…방어권 보장해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