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분기 한국의 경제 성장률이 0.2% 역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2분기부터 고금리 장기화, 미분양 증가 등 주택경기 부진이 이어지면서 건설투자 부문이 성장률을 끌어내리는 상황으로 풀이된다.
한국은행은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속보치)이 지난해 4분기 대비 -0.2%로 집계됐다고 24일 발표했다. 한은이 지난 2월 제시한 전망치(0.2%)보다 0.4%포인트(p) 낮은 수준이다.
1분기 성장률을 부문별로 보면 민간소비가 오락문화·의료 등 서비스 소비 부진으로 0.1% 줄었고, 정부소비는 건강보험 급여비 지출 감소 등으로 0.1% 뒷걸음쳤다. 건설투자는 건물 건설을 중심으로 3.2% 감소했으며, 설비투자는 반도체 제조용 장비 등 기계류 위주로 2.1% 축소된 것으로 나왔다.
설비투자 성장률의 경우 2021년 3분기(-4.9%) 이후 3년 6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수출은 화학제품·기계·장비 등이 고전하면서 1.1% 위축됐고, 수입은 원유·천연가스 등 에너지류 중심으로 -2.0% 줄어들었다.
국내정치 불확실성 장기화와 미국 관세정책 예고에 따른 통상환경 불확실성 확대가 소비·투자심리 회복 지연으로 이어졌다는 게 한은 설명이다. 이동원 한은 경제통계2국장은 "고성능 반도체 수요 이연, 일부 건설현장 공사 중단, 대형 산불 등 이례적인 요인도 발생하면서 성장하방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했다.
1분기 성장률 하향에 따라 올해 연간 경제 성장률도 한은이 당초 예상한 1.5% 아래로 떨어질 가능성이 커졌다. 한은은 올해 연간 성장 경로의 불확실성이 큰 상황이지만 국내정치 불확실성이 일부 해소됐고, 지난해 10월부터 기준금리를 인하해 온 만큼 2분기 성장률은 높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이날 외신 인터뷰에서 "한국 경제는 수출 위주인 만큼 통상갈등이 확실히 큰 역풍"이라면서 "(한미 통상회담 이후) 통상갈등이 심해질지 약해질지와 재정정책을 통한 대응 등을 봐야 하기 때문에 전망을 미리 짐작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