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한덕수 53% VS 김문수 33%'도 있고 '김 60% VS 한 13%'도 있네?

'다 튀어 나오면?' 이재명 48% 한덕수 19% 김문수 14% 이준석 5%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후보와 무소속 한덕수 대선 예비후보가 지난 8일 서울 국회 사랑재에 위치한 커피숍에서 만나 회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후보와 무소속 한덕수 대선 예비후보가 지난 8일 서울 국회 사랑재에 위치한 커피숍에서 만나 회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문수냐 한덕수냐 도대체 무슨 수냐' 보수 진영의 대선 후보 단일화 갈등이 가중되고 있는 가운데, 부정적 시나리오 중 하나로 볼 수 있는 둘 다(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와 한덕수 무소속 후보) 출마할 경우 어찌될 지를 엿볼 수 있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리서치가 KBS 의뢰로 지난 6~8일 사흘 간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3천명에게 전화 면접으로 '대선 후보 적합도'를 조사한 결과다.

다음과 같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 48%
▶한덕수 무소속 후보 19%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 14%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 5%
▶없음 및 모름·무응답 11%

이는 '김문수+한덕수=단일화'라는 공식이 앞서 지배적으로 나오고 있어 그냥 그 전에 할 수 있는 조사상 데이터일 수 있으나, 공교롭게도 이 여론조사 내용이 9일 오후 9시 KBS 뉴스를 통해 공개된즈음 김문수 후보와 한덕수 후보 간 3차 단일화 협상이 '또' 결렬됐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둘 다 출마를 강행할, 즉 보수 진영 내에서 초유의 치킨게임을 할 가능성도 한층 높아진 모습이다.

물론, 이 여론조사에서는 '문수로 단일화' 또는 '덕수로 단일화'를 가정한 3자 대결 조사도 했다.

이랬다.

▶이재명 49% / 김문수 29% / 이준석 7% / 그 외 다른 사람·없다·모름·무응답 14%
▶이재명 49% / 한덕수 33% / 이준석 6% / 그 외 다른 사람·없다·모름·무응답 12%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가 제3차 골목골목 경청투어로 경북지역 방문에 나선 9일 경북 고령군 대가야역사공원에서 학생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가 제3차 골목골목 경청투어로 경북지역 방문에 나선 9일 경북 고령군 대가야역사공원에서 학생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개혁신당 이준석 대선후보가 7일 대전 유성구 충남대를 찾아 학생들과 함께 점심을 먹으며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개혁신당 이준석 대선후보가 7일 대전 유성구 충남대를 찾아 학생들과 함께 점심을 먹으며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현재 초유의 관심사인 보수 진영 양자 간 단일화 승부를 가늠할 수 있는 조사도 이뤄졌다. 3개 카테고리의 데이터 분석이 가능하다.

전체 조사 결과, 당심을 엿볼 수 있는 국민의힘 지지층과 무당층 조사 결과, 당장은 '남의 집 불구경'이겠지만 향후 본선에는 가미될 수 있으며 일명 '역선택'이라는 시선으로도 바라볼 수 있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층 조사 결과다.

▶전체 조사 결과=김문수 47% / 한덕수 33% / 모름 및 무응답 20%
▶국민의힘 지지층과 무당층=한덕수 53% / 김문수 33% / 모름 및 무응답 14%
▶더불어민주당 지지층=김문수 60% / 한덕수 13% / 모름 및 무응답 27%

이 여론조사 응답률은 무려 18.3%에 달한다.

참고로 응답률을 두고는 홍준표 전 대구시장이 "15% 미만은 공표를 금지해야 한다"는 지론을 내비치는 등 낮은 응답률의 여론조사에 대한 의구심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는데, 이번 KBS 의뢰 여론조사는 요즘 나오는 여러 여론조사들과 비교해 응답률이 꽤 높은 편이다. 두 자릿수 응답률의 여론조사 찾기가 쉽지 않다. 다만, 하나 아쉬운 점은 조사가 6~8일 진행돼 오늘(9일) 하루를 꽉 채워 촘촘하게 이어진 정치권 에피소드들의 여파가 반영되지 않은 것이다.

이어 이 조사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 ±1.8%포인트(p).

표본에 대해서는 올해 4월 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 기준으로 성별·연령별·지역별 가중값을 부여(셀가중)했다.

조사 관련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