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극항로 시대를 앞두고 정책·지역·산업 세 축이 동시에 가동되고 있다. 중앙은 제도와 조직을, 지역은 항만과 인프라를, 산업은 기술 경쟁력을 높이며 국가 차원의 해양 전략이 구체화되고 있다.
이재명 정부는 북극항로를 새 정부의 핵심 성장 전략 중 하나로 내세우며 적극적인 정책 구상을 밝히고 있다. 이 대통령은 후보 시절 부산을 북극항로 시대 동북아 핵심 거점으로 육성하겠다고 공약하며 해양수산부를 부산으로 이전하는 파격적인 지역 공약을 내세웠다. 이는 부산을 명실상부한 해양수도로 격상시켜 다가올 북극항로 시대의 물류 허브로 만들겠다는 구상이다.
이 대통령은 지난달 24일 해양수산부에 연내에 부산 이전을 완료하라고 거듭 지시하기도 했다. 해수부를 부산으로 옮기는 것은 상징적 조치일 뿐만 아니라, 부산에 해운·조선 통합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기 위한 포석으로 읽힌다.
북극항로 시대를 준비하는 지역 차원의 움직임도 뚜렷해지고 있다. 특히 부산, 울산, 경남(동남권)과 대구경북(대경권)이 각기 다른 강점을 바탕으로 전략을 모색하고 있다. 동남권은 부산을 필두로 한 해운·물류 인프라, 울산과 거제의 조선, 에너지 인프라를 활용해 북극항로 개척 선봉에 서겠다는 입장이다.
대구경북은 전통적으로 해양과는 거리가 있지만 북극항로를 지역 발전의 새 계기로 삼기 위해 창의적인 전략을 모색하고 있다. 특히 경북 동해안의 포항 영일만항은 대경권의 유일한 대형 무역항으로 북극항로의 남쪽 종착지 중 하나로 부상할 잠재력이 있다. 경북도와 포항시는 최근 포항 영일만항을 북극항로 거점 항만으로 육성한다는 공동 비전을 내놓았다.
선박업계에선 북극항로가 본격 개척되면 K-조선에 큰 기회가 될 것이라는 기대가 나온다. 향후 북극 해역의 자원 개발 붐이 일어나 LNG 운반선이나 해양플랜트 수요가 늘면 한국 조선업계에 수혜가 돌아올 것이라는 전망이다.
한승오 세종대학교 경영학부 교수는 2023년 세종연구원이 발간한 학술지를 통해 "연중 운항을 위한 대형 원자력 쇄빙선과 자율운항선박 개발이 우선 과제"라며 "환경 보호와 항행 안전성 확보, 주요 국가 간 정치적 이해관계 조율이 북극항로의 지속 가능한 상업화에 핵심 요소"라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윤희숙 여의도연구원장, 국민의힘 새 혁신위원장
트럼프 '25% 관세' 압박에…한국, 통상+안보 빅딜 카드 꺼냈다
李대통령, 이진숙 국무회의 제외 결정…"공무원 중립의무 위반"
[단독] '백종원 저격수'가 추천한 축제…황교익 축제였다
"광주 軍공항 이전 사실상 국정과제화"…대구 숙원 사업 TK신공항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