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른 폭염에 최대전력 수요가 한여름 수준까지 치솟았다. 전력당국은 전력 수급 상황 점검을 강화하는 동시에 취약계층에 대한 냉방기기, 전기요금 지원을 강화하기로 했다.
8일 전력당국에 따르면 지난 7일 최대전력 수요는 93.4GW(기가와트)까지 올랐다. 그동안 7월 중 가장 높은 전력수요를 기록한 2022년 7월 7일 기록(92.99GW)을 넘어선 것이다.
최대전력은 하루 중 수요가 가장 많은 시간대의 전력 수요를 뜻한다. 90GW 이상 최대수요는 통상적으로 연중 가장 무더운 7월 말에서 8월 초 사이에 나타난다. 시장에서는 이례적인 폭염으로 7월 초 전력수요가 예상 범위를 넘어서고 있다는 진단이 나온다.
전력당국은 전력 수급 상황을 점검히고 나섰다. 이호현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은 이날 수도권 전력 공급을 담당하는 신양재변전소를 방문해 현장 설비 관리 실태와 여름철 전력 수급 준비 상황을 점검했다. 한국전력은 같은 날 전국 15개 지역본부가 동시에 참여하는 '전력 수급 비상훈련'을 시행했다.
정부는 전력 수급이 예비력(최대 전력공급량에서 최대 전력수요량을 뺀 예비전력) 10GW 이상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전력 공급 예비력이 5GW 이상을 유지하면 전력 수급 상황이 안정적인 것으로 판단한다.
전력 수요 급증 등으로 예비력이 5.5GW까지 떨어지면 전력 수급 경보 중 가장 낮은 단계인 '준비'가 발령된다. 경보는 준비와 ▷관심(예비력 3.5∼4.5GW) ▷주의(2.5∼3.5GW) ▷경계(1.5∼2.5GW) ▷심각(1.5GW 미만)으로 나뉜다.
산업부 관계자는 "안정적 전력 수급을 위해서는 핵심 설비 관리가 중요하다. 남은 여름 동안 차질 없이 전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빈틈없이 관리하고 지원할 방침"이라며 "지자체별·위기 가구별로 사용량을 모니터링하는 방안 등을 추진하고 있다"고 했다.
산업부는 취약계층이 전기요금 부담을 덜고 냉방기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에너지바우처와 전기요금 할인을 전폭 지원할 계획이다. 에너지바우처의 경우 지난 1일부터 바우처 지원액 최대 70만1천300원을 지급하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윤희숙 여의도연구원장, 국민의힘 새 혁신위원장
트럼프 '25% 관세' 압박에…한국, 통상+안보 빅딜 카드 꺼냈다
李대통령, 이진숙 국무회의 제외 결정…"공무원 중립의무 위반"
[단독] '백종원 저격수'가 추천한 축제…황교익 축제였다
"광주 軍공항 이전 사실상 국정과제화"…대구 숙원 사업 TK신공항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