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주요 무역국에 상호관세 부과를 일방 통보하면서도 한국과 일본을 가장 먼저 콕 집어 거론한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트럼프 대통령은 7일(현지시간)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에 이재명 대통령,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에게 보낸 '관세 부과 시점을 8월 1일로 한다'는 내용의 서한을 공개했다. 이날 서한 발송 대상이 된 나라의 구체적인 목록은 제시하지 않으면서도 한일 서한만 공개한 것이다.
캐럴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왜 한국과 일본부터 시작하기로 결정했는지 말해줄 수 있냐'는 질문에 "그것은 대통령의 특권"이라며 "트럼프가 선택한 국가들"이라고 했다. 레빗 대변인은 브리핑 도중 한일에 보낸 대통령 서한을 직접 들고 나와 이를 카메라에 들어 보이기도 했다.
한일은 트럼프가 중국 견제, 조선 산업 복원, 에너지 부흥 같은 주요 어젠다를 실행하는 데 필요한 역량을 갖춘 중요 동맹인 동시에 미국이 적자를 보고 있는 대표적 아시아 국가이다. 미국 무역대표부(USTR) 자료를 보면 지난해 미국의 대한국 무역 적자는 약 660억달러(약 90조8천억원), 대일 무역 적자는 685억달러였다.
한일 양국은 트럼프 대통령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자동차 산업 강국이다. 트럼프의 주요 지지층인 '러스트벨트'(오하이오와 펜실베이니아 등 제조업이 발달한 미 북부와 중서부지역) 백인 노동자들은 현대차나 도요타 같은 한일 자동차 메이커의 약진으로 미국 자동차 산업이 몰락해 자신들이 피해를 봤다는 의식이 강하다.
USTR 부대표를 지낸 웬디 커틀러 아시아소사이어티정책연구소(ASPI) 부회장은 "대통령이 우리의 가장 긴밀한 두 동맹인 일본과 한국에 25% 관세 인상을 발표한 게 유감"이라면서도 "이 발표는 다른 나라의 간담을 서늘하게 하는 메시지다. 한일 양국의 최우선 순위인 자동차 관세를 포함한 품목별 관세 완화는 수용하지 않을 것임을 시사한다"고 했다.
미국을 방문 중인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은 7일(현지시간)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을 만나 한미 간 통상 현안에 대해 논의했다. 특히 자동차, 철강 등 한국의 대미 주력 수출품에 부과된 품목관세에 대해 경쟁국 대비 우호적인 대우를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 관계자는 "한미 양국 간 상호 이해를 바탕으로 실질적인 협의가 이뤄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다. 관세 문제 해결을 위한 외교적 노력을 계속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윤희숙 여의도연구원장, 국민의힘 새 혁신위원장
트럼프 '25% 관세' 압박에…한국, 통상+안보 빅딜 카드 꺼냈다
李대통령, 이진숙 국무회의 제외 결정…"공무원 중립의무 위반"
[단독] '백종원 저격수'가 추천한 축제…황교익 축제였다
"광주 軍공항 이전 사실상 국정과제화"…대구 숙원 사업 TK신공항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