낮 시간 대 40℃에 가까운 폭염이 연일 지속되면서 온열질환 사망자가 또한 늘고 있다. 특히 땡볕 아래 논밭에서 작업하는 노인들이 온열질환에 취약한 것으로 드러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9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2011년 온열질환 감시체계를 가동한 이후 지난해까지 온열질환으로 사망한 사람은 총 238명이다. 남성이 145명, 여성 93명이었다.
최악의 폭염이 나타났던 2018년에만 48명이 숨지고, 2023년과 지난해에도 각각 32명, 34명이 목숨을 잃었다.
연령대별로 보면 전체의 약 3분의 2(65.5%)인 156명이 60세 이상이었다. 발생 장소는 논밭이 76명(31.9%)으로 가장 많고, 집(14.7%), 길가(13.9%) 순으로 뒤를 이었다. 또 남성이 5명, 여성이 2명이며, 80대가 3명, 50대가 2명, 70대와 40대가 1명씩이다. 7명 중 4명이 노인이었다.
산에서 3명의 사망자가 나왔고, 논밭과 비닐하우스, 운동장, 길가에서 각각 1명씩 발생했다.

한여름 더위가 깊어지는 7월 말~8월 초 시기가 되면 온열질환자와 이로 인한 사망자는 더 나올 것으로 우려된다.
9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전날 하루 전국 500여곳 응급실을 찾은 온열질환자는 1천228명이었다. 사망자 또한 한 명 더 늘어 지난 5월 15일 온열질환 감시체계가 가동된 이후 온열질환이 사망원인으로 추정된 사망자 수는 8일까지 8명이다.
이는 2011년 온열질환 감시체계를 시작한 이래 '최악의 무더위'라는 평가를 받았던 2018년의 같은 기간 온열질환자(229명)와 비교하면 5.4배 더 많고, 사망자(2명) 또한 4배 가까운 수치다. 같은 기간 두 번째로 온열질환자와 사망자가 많았던 해는 2022년으로 674명이 온열질환을 앓았고 6명이 숨졌다.
특히 고령자의 경우 상대적으로 체온 조절이 원활하지 않아 더위에 더욱 취약하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온열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선 갈증이 없어도 물을 자주 마시고, 시원한 곳에서 지내며, 더운 시간대엔 활동을 자제하는 것이 중요하다. 논일과 밭일도 가급적 정오와 5시 사이를 피해 이른 아침과 저녁에 하는 것이 낫다.
샤워를 자주 하고, 헐렁하고 밝은 가벼운 색 옷을 입는 것이 좋으며, 외출 시에는 양산과 모자 등으로 햇볕을 차단해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진숙·강선우 감싼 민주당 원내수석…"전혀 문제 없다"
"꾀병 아니었다…저혈압·호흡곤란" 김건희 여사, '휠체어 퇴원' 이유는
[사설] 민주당 '내란특별법' 발의, 이 대통령의 '협치'는 빈말이었나
[홍석준 칼럼] 우물안 개구리가 나라를 흔든다
강선우 '스쿨존 내로남불' 이어 '갑질 내로남불' 의혹에 우재준 "李대통령 어찌 볼지"